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서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3374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 Philosophische Forschung Uber den eigenen Tod der modernen Menschen.


  • 저자[authors] 배용준 ( Bae Yong-ju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동서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9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동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41-57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고유한 죽음, der eigne Tod, 현존재(Dasein)의 죽음, 의미 없는 죽음, 죽음의 의미, 의료산업과 의료체계, Der Tod des Daseins, der sinnlose Tod, Die Bedeutung des Todes, Die medizinische Industrie und Das medizinische System


초록[abstracts]

[근대 과학이 놀라운 발전을 이루면서 의학적 지식과 기술은 생명을 연장하고 죽음의 순간을 유예시키는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인간의 생명과 죽음의 모든 것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발전된 의학적 지식과 기술은 현대인들이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인 죽음에서 눈을 돌려 건강한 삶이라는 행복을 제공하고 있고 불치병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며 신적인 위안을 주고 있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근원적 사유에서 본다면 생명을 연장하는 의학적 지식과 기술은 근본적인 해답이나 대안은 될 수 없다. 오히려 생명의 연장과 죽음을 유예하는 의학적 지식과 기술로 인하여 인간의 죽음은 오히려 두려워하는 부정적 사건으로 전락하였다. 그 결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가치는 무의미한 것이 되었고 개인의 죽음은 고독한 죽음, 익명적 죽음이 되었다. 이러한 사유의 근원지는 병원이다. 병원은 생명의 연장과 죽음의 유예를 담당하는 전문 의료인이 의술을 펼치는 장소이지만 다른 한편에서 병원은 죽음의 장소가 된 지 오래다. 의료산업과 장례 산업에서 진행되는 개인의 죽음 의식에서 죽음을 앞에 두고 있는 개인이 자신의 죽음에 주체가 되어 죽음을 마감하는, 의미 있는 죽음의 양식을 말하는 것은 환상이거나 허구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고유한 삶이 있는 것처럼 죽음 역시 고유한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또한, 고유한 죽음에 대해 성찰을 해야 하는 이유도 분명하다. 왜냐하면, 한 인간의 고유한 죽음은 삶의 가치 완성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병원에서 전문적 직업인에 의하여 미리 마련된 죽음을 맞이하는 현대인의 익명적 죽음을 살펴보고 이와 함께 현대인에게 요구되는 고유한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고유한 죽음의 실현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2장에서 릴케가 그의 작품에서 시적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는 고독하고 의미 없는 죽음과 그가 바라는 고유한 죽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병원에서의 죽음과 죽음에 관한 사회적 현상을 통해서 현재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미 없는 죽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헤겔이 말하는 인간의 죽음에 대한 이론을 통해서 인간의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의미를 알아보고 5장에서는 현대철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의미있는 죽음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그들이 제시하는 실천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5장까지 내용을 통해서 고유한 죽음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60
6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553
6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6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18
6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6
6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21
6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8
6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13
6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6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
60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59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9
5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33
56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5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2
54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2014  620
5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 임승희, 신애란 2012  618
5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8
51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