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18142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A Study on the Legal Policy for the Permit of the Physician-assisted Suicide



  • 저자명 : 장한철 ( Han-chul Chang ) 
  •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18 No.4 [2018] 
  • 발행처 :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3-82(30쪽) 
  • 발행년도: 2018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 의사조력자살  , 안락사  , 존엄사  , 연명의료중단  , 자기결정권  , 죽을 권리  , Euthanasia  , Physician-assisted Suicide  , Death with Dignity , Right of Patient self-determination  , Right to die dignifiedly


초록

과거의 안락사에 관한 논의는 ‘육체적 고통제거’와 연관되어 시작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존엄하게 죽을 권리’ 내지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강조되면서 안락사에 대한 관점이 존엄사의 시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이미 2017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접어들었고, 2026년경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은 개인, 사회, 국가의 차원에서 다양한 부담의 증대를 초래할 것이다. 최근 시행되고 있는 연명의료결정법은 일정한 요건 하에서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적 권리로 인정하여 연명의료중단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형태의 존엄사인 의사조력자살은 금지하고 있다.

연명의료중단과 의사조력자살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근거하는 것이라는 점, 환자가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지키면서 죽음을 맞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필자는 자기결정권의 존중, 연명의료중단과 의사조력자살의 차이, 사회적 인식의 변화 및 사회적 현실 등을 고려하여 이제는 우리도 의사조력자살도 연명 의료중단과 마찬가지로 입법적으로 허용할 시기가 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사회적 합의의 도출을 위해 구체적인 입법적 해결방안까지도 제시하고자 한다.



http://www.riss.kr/link?id=A10601814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장한철 2018  143
29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28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2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6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소아의 권리보호방안 모색 / 김진경 2016  211
25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8
24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5
2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2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20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1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18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17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1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1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6
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502
13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502
1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6
1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