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프랑스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45759 

68년 이후 프랑스 여성운동과 낙태 합법화 

= Le mouvement féministe français après 68 et la légalisation de l’avortement



  • 저자[authors] 민유기(You-Ki M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프랑스사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39[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프랑스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9-12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68년 5월(May 68),여성운동(Feminist Movement),낙태(Abortion),베이유 법(Veil Law),343인 여성 선언(Manifesto of the 343),보비니 재판(Bobigny trial)


초록[abstracts]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운동 단체들, 의사들, 정당들의 낙태에 대한 입장들을 종합적으로 비교하면서, 68년 5월 이후의 프랑스 여성운동이 낙태합법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68년 이후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한 낙태 합법화 요구가 크게 확산되었다. 1971년 낙태를 했다는 저명 여성 343인의 선언, 1972년의 보비니 낙태죄 재판 등을 통해 낙태에 대한 처벌을 규정한 1920년 법은 효력을 상실했다. 70년대 전반기에 의사들은 낙태 합법화를 반대한 보수적 의사협회와 찬성한 진보적 의사들로 나뉘었고, 찬성 측의 규모가 점점 커져갔다. 1974년 대선에서 승리한 자유주의적 중도우파는 낙태를 합법화한 베이유 법 제정을 통해 아래로부터의 사회적 압력을 법률적 제도 내로 수용하였다. 이를 추동해낸 것은 68년을 경험하며 보다 조직화된 여성운동이었다.


, This article intends for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French feminism after May 68 over legalization of abortion through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standpoints of political parties, doctors, and feminists. The demands for legalization of abortion propagated after 1968 to promote the human rights of women. The manifesto of the 343 women in 1971 and the Bobigny abortion trial in 1972 had incapacitated the law of 1920 that stipulated the punishment for abortion. Doctors were divided into those of the conservative association who dissented from the abortion and those who had progressive opinions assented to the abortion; the number of progressive doctors gradually grown further. The liberal central rightists who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74 accommodated the social pressure originated from the bottom into legal system through the legislation of ‘Veil Law’ that legalized the abortion by wome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베이비 붐 시기의 낙태 문제  III. 여성운동의 성장과 낙태 합법화 요구  IV. 의료계의 낙태 합법화 찬반 갈등  V. 자발적 임신중절 법 제정  VI. 나오며  참고문헌  Résumé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68 18 인체실험 국내 및 해외의 임상시험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 지침의 현황 / 이보람, 이경은 2016  237
» 12 낙태 68년 이후 프랑스 여성운동과 낙태 합법화 / 민유기 2018  237
206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2013  238
2065 15 유전학 전유전체 서열 기반 한국인 참조 변이체 분석 연구 / 박선혜 2016  238
206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 역사와 발전 / 김현수 2014  238
206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38
2062 1 윤리학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문재 2018  238
206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배경과 법률 내용 / 백수진 2018  238
2060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205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 방안 / 전수범 2010  239
2058 15 유전학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연구 동향 / 정주원, 오선경, 최영민 2014  239
205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효과 / 김병철 2011  239
2056 15 유전학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윤나 2015  239
2055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2054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9
2053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 김평수 2016  239
2052 2 생명윤리 대학생의 공감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연관성 / 위지희 2017  239
2051 15 유전학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 김은진 2017  239
2050 5 과학 기술 사회 IoT 중심의 사회복지시설 정보화 현안과 정책 과제 / 이연희 외 2016  239
20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