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42273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Ethical Issue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on the Basis of Christian Worldview


  • 저자[authors] 최현일 ( Hyun Il Choi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2018]

  • 발행처[publisher]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56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줄기세포 Stem cells,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인간생명의 시작 Beginning of, human life, 기독교 세계관 Christian worldview.


초록[abstracts] 

[줄기세포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 이와 연관된 과학적 윤리적 이슈들은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과학적 발전은 난치병의 치료가능성을 높이고, 개인맞춤의료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처럼 보이나 연구에 수반되는 윤리적 이슈들에 관한 논쟁은 과학발전의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인간배아줄기세포는 배아의 지위에 관한 논쟁과 인간생명의 시작에 관한 논쟁이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인도하게 되고 이에 대한 대답은 세계관적 답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생물학적 기전 및 유전과 분자생물학적인 배아 발생의 증거들은 어디부터 인간이고 어디부터 인간이 아닌가를 구별 짓는 불연속점이 존재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경과 성육신의 증거들은 수정부터 배아와 태아, 성인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형상이 동일하게 발현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를 통한 지식의 확장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인 창조성을 물려받은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세계관적인 관점으로 줄기세포 연구의 분야를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모든 진리가 하나님의 진리가 되도록 줄기세포 연구 학문의 목적과 방법과 의미를 구속하는 청지기적 사명의 실현이 필요하다.,


Since the beginning of stem cell research, the scientific and ethical issues have received hot attention. Scientific developments seem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treatment of intractable diseases and become the core of personalized care, but the debate over ethical issues in research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scientific development. In particular,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leads to a debate about the status of the embryo and the beginning of human life. Evidence of biological mechanisms, genetic and molecular biological evidence shows there is no discontinuity in the process of embryonic development. It shows that there is no definitive point whether it is human or not. Evidence from the Bible and the divine incarnation shows that the image of God is manifested equally from fertilization to embryo, fetus, and adult. Th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research is the grace of God’s creativ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hine the field of stem cell research from a Christian worldview perspective.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deem the purpose, method and meaning of the stem cell research so that all truths become God’s Go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68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96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7
96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개선방향 : 부검의 중요성과 법의학자의 역할 / 장준혁 2018  437
965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2018  437
96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2007  437
»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2018  437
96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강다영 2014  438
961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경험 / 박지예 2018  438
96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2018  438
959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2008  439
95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39
957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40
95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0
955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954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9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
952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1
951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41
950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1
949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