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영미문학페미니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17418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The Relevance of Margaret Atwood’s Handmaid’s Tale

  • 저자[authors] 강의혁 ( Euihuack Ka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영미문학페미니즘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Margaret Atwood, Handmaid’s Tale, solidarity, dystopia, aesthetic form, fragmented narrative, survival

초록[abstracts]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in which the narrator Offred’s narrative is constructed as her own survival strategy. Faced with unavailability of adequate discourse to narrate her story in the suffocating totalitarian society, Offred comes up with a highly fragmented narrative where she constantly vacillates between past and present, her own life experience and others’ life-stories, and reflections on past events and alert consciousness on current surroundings. Thus the narrative form becomes an amalgam of disparate lives, different moments, and contradictory perspectives. While this highly fragmented narrative form constantly blocks the unified representation of Offred’s and others’ life-stories, the very aesthetic form enables the oppressed people’s lived lives to be narratively re-inscribed without losing their respective individualities. Further, throughout the narrative process, a sense of solidarity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oppressed others emerges in contradistinction to the dominant and abstract discourse of the regime whose edifice is maintained essentially by the legitimation and imposition of its national idea(l). Ultimately, the narrative’s dialectical movement of fragmentedness and solidarity, collectivity and individuality demonstrates that the ‘beyond’ of dystopian present lies not in a coherent utopian program but the ruptures that social others make within the socie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728 15 유전학 경북 동부지역 꿀벌에서 주요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 우인옥 외 2013  151
1727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
1726 2 생명윤리 출산전진단에 나타나는 우생사상과 공리주의에 대한 인격주의생명윤리적 고찰 /최정임 2014  151
1725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시설의 최근 규제동향/김광진 2014  151
17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내 간이식을 중심으로 / 이승규 1996  151
1723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72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0
»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50
172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50
1719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50
1718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1717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50
1716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50
1715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1714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50
1713 7 의료사회학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하명호 2016  150
1712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1711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171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170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