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同哲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16087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에서 ICT 적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저자[authors] 이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同哲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3No.-[2018]
  • 발행처[publisher] 대동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5-8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e-의료윤리, ICT 보건의료, 의사와 환자 관계 원칙, 자율성 원칙, 책임감 원칙.,ethics of e-Medicine, ICT in Healthcare, principle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principle of autonomy, principle of responsibility

초록[abstracts] 
[고령사회에서 인구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과 의료비 증가는 사회·경제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등장은 보건의료에서 질병 중심 패러다임에서 예방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 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방 패러다임은 환자 중심 의료로 실현되며, 적절한 대안으로서 보건의료 서비스에서 ICT을 권장한다. 이 논문은 고령사회에서 노인을 위한 ICT 보건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e-의료윤리’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e-의료윤리는 의사와 환자 관계 원칙, 책임감 원칙, 자율성 원칙으로 구성된다.

In aged societies, the rise of chronic diseases and the health care costs from the aging population are becom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 emergence of these problems in health care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ift from a disease paradigm to a preventive paradigm. A preventive paradigm is realized in the form of patient-centered care, and ICT is recommended in health care services as an appropriate alternative. This article analyzes the ethical problems that could arise in ICT healthcare for the elderly in aged societies by applying the ethics of e-Medicine. The ethics of e-Medicine consists of the principle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and the principle of autonomy.]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1. 여는 글  2.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ICT의 적용  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ICT의 적용  나. 고령사회에서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다. 노인을 위한 ICT 보건의료의 특징  3. 노인을 위한 ICT 보건의료의 윤리적 평가  가. ICT 보건의료의 윤리적 평가를 위한 기준의 제안 : e-의료 원칙  나. e-의료 원칙① : 의사와 환자 관계 원칙  다. e-의료 원칙② : 책임감 원칙  라. e-의료 원칙③ : 자율성 원칙  4. 닫는 글  참고문헌  요약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048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 안순녀 2019  143
3047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43
3046 2 생명윤리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최정호 2018  143
3045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3044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의 대리모 자궁내 이식에 의한 임신 / 이두룡 1991  144
304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4
3042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4
3041 20 죽음과 죽어감 지면보수교육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지침과 해설/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2017  144
304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조병욱, 박병원 2017  144
3039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최준석 2015  144
303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02 - '유전자원접근과 이익공유' 법적 근거 마련/김행원 2011  145
303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최호성 외 2013  145
30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303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 김형주 2016  145
3034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특허 / 박영규 2009  145
3033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3032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45
3031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3030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3029 16 환경 비영리단체 돌봄사업의 가능성과 한계 : YWCA 돌봄사업구조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 구정혜 2017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