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0553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thical Dilemma and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in Clinical Nurses

  • 저자[authors] 오미선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권수혜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임상간호사,윤리적 딜레마,직무스트레스,심리적 소진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181347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의료계 상황은 환자의 권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이 간호사에게 부과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간호사는 과중한 업무량,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등으로 직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간호사는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들과 병원 내 여러 직종의 구성원들과 상호관계를 맺는 가운데 정서적으로 고갈되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결국 간호의 질 저하를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의 정도 및 그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광역시와 Y시 소재 2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 전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득한 후 2018년 7월 23일부터 동년 8월 29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해당병원의 간호부를 개별 접촉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으며, 간호 부서장에게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참여하기를 자의로 동의한 자로 한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밀봉하고 즉시 회수 또는 수거함에 넣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윤리적 딜레마는 한성숙(1992)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하고, 양야기, 오상은(2006)이 수정, 보완한 윤리적 딜레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하고 안미경(2003)이 수정, 보완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이 인간 서비스 전문직을 대상으로 개발하고, 최혜윤, 정남운(2003)이 상담자를 대상으로 번안하고, 이미향, 박영임(2015)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고,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심리적 소진 정도는 평균 106.06±14.03점(도구범위: 21-147), 평균평점 4.82±0.64(척도범위: 1-7)로 중간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정도의 평균은 85.22±13.85(도구범위: 34-136), 평균평점 2.51±0.41(척도범위: 1-4)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은 85.97±13.08(도구범위:  23-115), 평균평점 3.74±0.57(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심리적 소진 정도는 지각하는 대인관계(F=3.550, 𝑝=.031), 주관적 건강상태(F=8.536, 𝑝<.001), 현 근무병동 만족도(F=10.274, 𝑝<.001), 간호직 만족도(F=7.937, 𝑝=.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정도와 심리적 소진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r=.316, 𝑝<.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심리적 소진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r=.394, 𝑝<.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딜레마 정도와 직무스트레스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r=.442, 𝑝<.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심리적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247, 𝑝=.003)였고, 그 다음으로 현 근무병동 만족도(β=-.210, 𝑝=.005), 주관적 건강상태(β=-.185, 𝑝=.012), 윤리적 딜레마 정도(β=.161, 𝑝=.0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25.5% 이었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심리적 소진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였고, 그 다음으로 현 근무병동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윤리적 딜레마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를 감소시키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관리 방안 마련과 현 근무병동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정책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848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1
3847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3846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
38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2009  491
3844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384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3842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9
3841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3840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3839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8
3838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8
3837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8
3836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383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3834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6
383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85
3831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383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382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