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 종양전문간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0532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 저자[authors] 강윤지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10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귀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 종양전문간호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중소병원,간호사,암,감성지능,간호근무환경,간호업무성과,의사소통능력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181635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암환자의 유병률과 생존율의 증가와 더불어 중소병원에 입원하는 암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암환자 간호는 기본간호는 물론 복합적이고 고유한 전인적인 간호를 필요로 하는 전문영역으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환자에게 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고도의 숙련된 간호업무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의사소통능력은 환자의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기본으로 자신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조절할수록, 그리고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아져 간호업무성과 향상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업무성과의 정도를 파악하고 감성지능 및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봄으로써,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간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11곳의 중소병원 병동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24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 1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였다. 자료 수집 전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에 대한 승인을 받았으며, 연구도구 사용에 대해서도 사전에 이메일을 통하여 개발자 및 번안자로부터 승인을 득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해당 중소병원의 간호 부서장 및 병동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연구자가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게 하였고, 작성된 설문지는 즉시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의사소통능력은 허경호(2003)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GICC를 이현숙(2007)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감성지능은 Wong과 Law(2002)가 근로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WLEIS를 윤영란(2012)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PES-NWI를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검증한 K-PES-NWI를 사용하였고, 간호업무성과는 고유경, 이태화와 임지영(2007)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간호업무성과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성지능’ 정도는 평균 50.84±6.90(도구범위: 14-70), 평균평점 3.63±0.49(척도범위: 1-5)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정도는 평균 70.32±11.20점(도구범위: 29-116), 평균평점 2.42±0.38(척도범위: 1-4)로 약간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평균 55.32±6.59(도구범위: 15-75), 평균평점 3.68±0.43(척도범위: 1-5)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평균67.73±9.80(도구범위: 1-85), 평균평점 3.74±0.57(척도범위:1-5)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정도는 결혼(t=2.267, p=.037), 종교(t=1.078, p=.039), 학력(F=4.160, p=.017), 직위(t=-2.451, p=.015), 근무형태(t=2.843, p=.009), 연봉(F=4.684, p=.010), 총 임상경력(F=3.756, p=.006), 현재 근무병원 경력(F=2.863, p=.024), 현재 근무병동 경력(F=4.403,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 정도는 종교(t=-3.086, p=.002), 근무 형태(t=2.418, p=.016), 연봉(F=5.176, p=.006), 현재 근무병동 경력 (F=6.053, p=.001), 담당 암환자 수(t=4.12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종교(t=2.086, p=.038), 학력(F=6.770, p=.001), 근무형태(t=3.389, p=.002). 연봉(F=3.201, p=.042), 총 임상경력(F=3.090, p=.017), 현재 근무병원 경력(F=3.100, p=.016), 현재 근무병동 경력(F=3.789,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연령(F=5.742, p<.001), 결혼(t=4.663, p<.001), 학력(F=4.323, p=.014), 직위(t=-3.943, p<.001), 근무형태(t=4.347, p<.001), 총 임상경력(F=8.710, p<.001), 현재 근무병원 경력(F=6.471, p<.001), 현재 근무병동 경력(F=7.305,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 간의 관계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184, p=.004).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724, p<.001).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는 중증도의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r=.564, p<.001).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는 미약한 양의 상관 관계로 나타났다(r=.161, p=.012).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210, p=.001).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는 중증도의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601, p<.001).    7.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성지능과 간호업무성과에 의사소통능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5.24, p<.001).    8.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업무성과에 의사소통능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44, p=.001).    결론적으로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의사소통능력, 간호업무성과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인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이 종속변수인 간호업무성과에 매개변수인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결과 간호업무성과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이 매개했을 경우 간호업무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하여 간호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간호업무성과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 중소병원, 간호사, 암,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 간호업무성과, 의사소통능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8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이용한 법률전문가 시스템의 동향 및 구상 / 양종모 2016  204
2387 9 보건의료 국민의 보건권과 안전상비의약품 표시제도 / 손성구, 권경희 2014  204
2386 5 과학 기술 사회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법과 기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이진태 2005  204
2385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존엄사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주호노 2010  204
2384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2383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4
2382 23 연구윤리 상담자의 질적 연구 윤리로서의 윤리적 주체-되기 / 김소연 2018  204
238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이상반응의 IRB 보고 체계와 심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이도윤 2012  205
2380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2379 18 인체실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심장질환 관련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4  205
2378 20 죽음과 죽어감 양로시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선월 2016  205
237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수행 / 조정화 2015  205
2376 15 유전학 염색체 잘라내기: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특이적 염색체 결실 유도 / 김진수 2010  205
2375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2010  205
2374 9 보건의료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내부점검을 통한 임상시험 품질관리에 대한 고찰 / 조인선 2013  205
237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 심다은 외 2018  205
2372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2371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5
2370 22 동물복지 가축 전염병으로 인한 가축 살처분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박종무 2019  205
2369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tensity for Physicians, Lawye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2016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