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33234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of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 자[authors] 신수경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v, 68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영란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19. 2
  • DDC[DDC] 5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53823

국문 초록 (Abstract) 
생명윤리의 올바른 이해는 사회 전반에 걸친 윤리적 쟁점에 대해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오늘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생명윤리의 중요성이 함께 대두되고 있으며, 학교는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을 잘 반영하여 학생들이 생명윤리에 대한 바른 인식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5차시로 구성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작 전과 후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과 생명윤리교육의 실행방법을 파악하였다. 또한, 중간과제와 실험 보고서를 통해서 예비과학교사들이 생명윤리를 인식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후 실험반 예비과학교사들 중 7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과학교사들은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심리반응 단계, 인식형성 단계, 인식확장 단계를 갖는 경향성이 있었다. 실험반은 프로그램을 통해 반성적인 심리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나아가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확장하였다. 둘째, 실험반은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실천의지를 보였다. 이들은 설문지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생명윤리 교수학습방법에 시청각 수업과 동영상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실험반 예비과학교사는 학년이 높을수록 구체적인 생명윤리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ght understanding of bioethics allows us to make reasonable judgments about ethical issues throughout society.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bioethics is emerging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today. The school should reflect the social trends and educate students to raise awareness of bioethic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5 lessons and applied to an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the program, pre - test and post - tes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necessity of bioethics and how to implement bioethics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an intermediate task and experimental reports, this study analyzed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aspects of bioethics recognition. Seven of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terviewed to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had a tendency to have a psychological reaction phase, a cognitive formation phase, and a cognitive expansion phas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erception of bioethics. The experimental group tended to show a reflective psychological response through the program, and furthermore, the awareness of bioethics was strengthened and expande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through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and showed the will to practice it. They responded most to audiovisual classes and videos in the bioeth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uggested specific bioethics education methods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68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1167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116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1165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3
1164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3
1163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1162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3
1161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1160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113
115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3
1158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시판 후 조사와 리베이트 / 박수헌 2016  113
1157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1156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11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1154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수경 2019  112
1152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2
1151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2
1150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2
1149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