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융합정보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47020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


  • 저자[authors] 이미준,강희경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융합정보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2[2019]
  • 발행처[publisher] 중소기업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9-14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사고, 경험, 간호사, 환자안전, 질적연구,Accidents, Experience, Nurses, Patient Safety, Qualitative research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함이다. 질적연 구 방법을 활용하여 병원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안전사고를 경험한 7명의 간호사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자안전사고의 경험은 7가지 필수 주제와 24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7가지 필수 주제는 ⌜예상하지 못한 경험을 하게 됨⌟, ⌜소홀하게 생각해 놓침⌟, ⌜당면하는 불안감⌟, ⌜홀로감당해야하는어려움⌟, ⌜직장을 떠나게 됨⌟, ⌜분쟁에 휘말리게 됨⌟, ⌜성숙한 간호사가 되어감⌟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실질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understand nurses’ experience on patient safety accidents in general hospital.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ily life of seven nurses who had experienced nursing safety accidents directly or indirectly in general hospitals. The nurses’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7 categories and 24 subordinate properties and 7 categories were ⌜unexpected experience⌟, ⌜missing caused by negligence⌟, ⌜facing the anxiety⌟, ⌜difficult of loneliness⌟, ⌜resignation from the hospital⌟, ⌜entering into conflict⌟ and ⌜being practiced a n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safety accidents in hospitals and also it will help to make a practical improvement plan to prevent the patient safety accident at the clinical sit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과 연구자  2.3 연구도구와 자료수집  2.4 윤리적 고려사항  2.5 자료 분석  2.6 연구의 엄정성 및 질확보  3. 연구결과  3.1 질적자료의 분석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627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4626 9 보건의료 일본의 재택의료제도 현황과 시사점 / 남상요 2019  310
4625 18 인체실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 정미라,정은 2019  436
4624 9 보건의료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 서경화 2019  136
4623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2019  111
4622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4621 16 환경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 체계로의 전환 / 이은환 외 2019  113
4620 13 인구 일본의 합계출산율 상승기점의 정책 변화에 관한 고찰 / 오미희 2019  318
4619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김규옥 2019  84
4618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 설계 / 신봉희, 전혜경 2019  68
»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 / 이미준, 강희경 2019  337
4616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4615 1 윤리학 규제샌드박스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제언 / 배영임, 신혜리 2019  107
46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10
4613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
4612 10 성/젠더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혼인출산 동향 / Ma Chunhua 2019  117
4611 9 보건의료 의료의 배타적 전문성과 21세기 한국의료의 특징 / 정성균 2019  100
4610 9 보건의료 북한의 의사양성제도와 통일시대 의료인력 개발의 원칙 / 김신곤 2019  99
460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김한솔, 염동문, 장유미 2019  340
4608 9 보건의료 [외국정책 사례] 노인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 / 손동기 2019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