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과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3281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Effect that the Adolescents" Self-Esteem has on Suicidal Ideation : Testing a Mediation Effect according to Interpersonal Stress Types


  • 저자[authors] 김한솔(Han-sol Kim),염동문(Dong-mun Yeum),장유미(Yu-mi Ja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사회과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1[2019]
  • 발행처[publisher]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7-8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대인관계스트레스,자아존중감,자살생각,잠재프로파일,Interpersonal Stress,Self-esteem,Suicidal Ideation,Latent Profile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을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스트레스 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과 특성변인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며,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3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에서 고등학생 3,33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대인관계스트레스 유형은 모든 지표가 낮은 ‘긴장완화형’, 중간수준인 ‘평균형’, 부모와 형제의 관계 지표가 높은 ‘가족관계민감형’, 친구, 이성, 선․후배, 교사와의 관계 지표가 높은 ‘사회관계민감형’으로 명명하여 분류하였다. 둘째, 유형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형 간 영향을 미치는 특성변인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인관계스트레스 매개효과 검증은 긴장완화형, 평균형, 가족관계민감형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사회관계민감형은 완전매개효과로 검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함의를 제공하고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interpersonal stress among adolescents through the potential profil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type and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role of interpersonal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 esteem and suicidal ide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331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2013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ho answered low levels of stress on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s the low stress type, and moderate stress type included students who answered moderate levels on the questionnaire. Intrafamilial stress type was defined as featuring high stress levels concerning questions on relationship with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Extrafamilial stress type was characterized a high stress levels with questions on relationship with friends, members of the opposite sex, seniors, juniors, and teachers. Second, a characteristic variable having an effect between types was checked by carrying ou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rd, with regard to testing the interpersonal stress mediation effect, the low stress, moderate stress and intrafamilial stress types produc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the test showed that extrafamilial stress type had a full mediation effect.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ovided.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88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138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1386 5 과학 기술 사회 재활로봇의 기술 동향 / 송원경 2016  338
1385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학적 쟁점과 과제에 관한 연구 / 김진영, 허완규 2018  338
1384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와 IRB / 방은령 2013  339
1383 5 과학 기술 사회 부분-인간화 동물(Part-Human Animals)에 관한 시민 인식 및 규제 현황 / 모효정 2013  339
1382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13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2017  339
13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하명옥 2010  340
137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40
137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37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7  340
1376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40
1375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40
13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2017  340
»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김한솔, 염동문, 장유미 2019  340
1372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2010  341
137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41
137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노인의료비 지출추계 및 장기재정 전망 / 이수연 외 2018  341
1369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 인식 / 구종모 2013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