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28758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A Critical Examination of Dworkin’s Value-Argument Concerning Abortion
  • 저자[authors] 김상득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1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79-19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http://www.riss.kr/link?id=A105928758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Abortion raises two distinct but related ethical issues: one concerns the moral status of a fetus; the other concerns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s of a fetus and those of a pregnant woman. While conservatives claim that a fetus has a right to life, which outweighs a woman’s right to bodily autonomy, liberals who support abortion rights focus rather on the meaning of pregnancy for women. Dworkin argues against both the liberal and the conservative views, claiming that each is inconsistent with our considered moral judgements. He claims that a fetus has, not rights, but rather intrinsic value, and different views on the intrinsic value of fetal life give rise to different views on the morality of abortion. This argument from Dworkin, which I call the “value-argument,” is critically examined in this essay. While the value-argument helps to explain our considered moral judgements concerning abortion and integrates the two aforementioned problems into one, the “intrinsic value problem,” it fails to resolve the ethical problem of abortion. Rather than justifying its central claim that a fetus has some intrinsic value, Dworkin presupposes it as a working hypothesis. Nor does he provide objectiv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intrinsic value of a fetus. As such, Dworkin does not present a unique position on the ethics of abortion but rather explains why differences of opinion concerning abortion arise. This critical examination of the value-argument concludes that rather than solving the moral problem of abortion Dworkin merely provides an analysis of it.


국문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을 비판적으로 천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임신중절의 도덕성에 관한 지금까지의 두 논쟁, 즉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물음과 태아-산모의 권리 상충 물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두 물음에 관한 보수주의자들의 생명옹호론과 자유주의자들의 선택옹호론은 모두 태아나 임신중절에 관한 일상인들의 도덕적 직관을 온전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난점을 지닌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이론이 드워킨의 가치 논변이다. 태아는 보수주의자들의 주장과 달리 권리나 이해관계를 지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유주의자들의 주장과 달리 신성불가침한 본래적 가치를 지닌다는 게 드워킨의 주장이다. 본래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다르기 때문에 임신중절의 도덕성에 관한 입장 차이가 발생한다고 그는 설명한다. 드워킨의 가치 논변은 일상인들의 도덕적 직관과 부합할 뿐만 아니라, 임신중절에 관한 두 논쟁을 하나로 통합하여 설명하는 이론적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태아는 권리를 지니지 않고 본래적 가치를 지닌다.”는 그의 주장은 하나의 가설로 입증의 부담을 안고 있다. 또 그의 가치 논변은 다분히 자유주의적 입장으로 귀결하지만, 본래적 가치를 평가할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윤리적 상대주의를 함의하고 있다. 이러한 함의로 인해 그의 논변은 임신중절 물음에 관해 자신의 고유한 입장을 제시하고 않고, 이에 관한 입장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할 따름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그의 가치 논변은 임신중절 물음에 대해 일종의 열린 대답을 제시함으로, 응용윤리학 본래의 목표인 ‘도덕문제 해결’이 아니라, 다분히 ‘도덕문제의 분석’ 차원에 머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70
1947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70
1946 2 생명윤리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맹광호 1993  170
194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및 딥러닝 국방감시체계 적용방안 검토 / 안정철, 권혁진 2016  170
1944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70
1943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70
1942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규정의 비교법적 분석 / 류일현, 안영하, 오정균, 우제창, 추정완 2016  170
1941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1940 23 연구윤리 우리나라 의학논문출판윤리에서 이해상충의 관리에 관한 고찰/박진선, 최병인 2015  170
1939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938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9
»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9
19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2017  169
1935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9
1934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933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9
1932 9 보건의료 우리나라와 OECD의 의료자원 투입량의 비교를 통한 보험수가의 이론적 추정 / 오동일 2013  169
1931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9
1930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169
1929 9 보건의료 응급의료 수가체계 개선방안 /이윤태 2004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