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0341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the Patient Caring Communication Scale


  • 저자[authors] 허명륜(Heo, Myoung Lyun),임숙빈(Im, Sook B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9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간호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0-9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Communication,Patients,Nurses,Factor Analysis,Statistical,의사소통,환자,간호사,요인 분석,통계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the level of patients’ recognition of the nurses’ care, based on Watson’s caring theory, and confirm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content validity test.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85 inpati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surgical units at two general hospitals.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tested using Cronbach’s alpha. Results: This process resulted in a preliminary scale composed of 34 items; We used item analysis and fiv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consequently selected 14 items composed of three factors (respect, genuineness, and relational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erified the model fit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final items;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easurement scale of the patient-perceived quality of nursing . The overall scale reliability had a Cronbach’s alpha of .92, which indicated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Conclusion: The developed scale showed content,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as well as convergent validity for each item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factors. This makes it suitable for use in a diverse range of future studies on nurse commun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2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5
19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5
1926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192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손수지 2012  256
19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6
1923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1922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1921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보건·생명과학 연구 제도 혁신의 산물 / 성경모 2015  256
1920 9 보건의료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이고은 외 2018  256
1919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6
19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 : 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 신헌준 2004  257
1917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과 공학윤리/김유신, 성경수 2004  257
1916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상 발생 가능한 분쟁의 해결 및 대응방안 - WTO 분쟁해결절차에 제소 가능한 분쟁을 중심으로 -/손지영 2014  257
191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57
1914 9 보건의료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2017  257
191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 김지혜 외 2018  257
1912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 문이지 외 2019  257
1911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1910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8
190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