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가족상담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859032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부출서명[Alternate Title] Developm ent of family centered multi-sensory environment program for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저자[authors] 전주영
  •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iv, 81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신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가족상담전공 2018.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211046)
  • UCI식별코드 I804:11046-000000517340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적용되는 모델이 없는 초기단계인 만큼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에서 모델개발을 위한 일환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감각을 기반으로 한 다감각환경(스노젤렌)의 홈 구축과 의료진과 환아 가족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환아와 가족의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참여회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호스피스·완화의료가 필요로 하는 환아와 가족에게 정서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 실태를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 체계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으며 퇴원 전 단회기 가족참여회의로 고안하였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환아와 보호자가 가정에서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가정의 환경과 아동의 장애정도에 따른 개별화 및 맞춤화를 통한 다감각환경(스노젤렌) 홈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후속연구의 필요성 및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번 연구를 통해 아동호스피스·완화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 두 번째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보호자를 위한 가정형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해 보았다는 점, 세 번째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확장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arly stage in which there is no model to be adapted to the pediatric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so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eed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home for multi-sensory environments (snoezelen) and the guidance of family meeting for good decision-making an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rough good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family. The goal is to help the child and family feel emotional.
  Through this study, we have been able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ystem in Korea. One of the ways to give meaningful time to a child and a child with life-threatening illness, which was designed as a family participation conference before discharge, was a multi-sensory environment through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according to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the child's disability (Snoezelen) ho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basic data on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rough the first study, the second time in Korea, And helped to explore and expan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thi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0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54
307 9 보건의료 모자보건법의 모자보건센터와 중앙모자의료센터의 기능 개선방안 / 황종윤 2019  955
306 15 유전학 게놈프로젝트의 현황과 전망 / 윤충효 2001  957
30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2014  959
304 11 피임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최진일 2015  963
303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30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대한 법률안의 제안 / 성윤미, 김숙정 2012  968
30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병리사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 조윤란 2018  969
300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2
299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5
298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7
297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8
29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9
295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2011  980
294 15 유전학 In Vitro에서의 경구 투여용 인간 성장 호르몬의 생산 / 구본철 2012  980
29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81
292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84
291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9
»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9
289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