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스토리&이미지텔링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2089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서의 인공지능과 몸, 감정, 윤리적 주체의 문제

= AI, Body, Emotion and Ethical Subject in Spike Jonze’s Her


  • 저자[authors] 박선화(Park, Sun-hw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스토리&이미지텔링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2018]
  • 발행처[publisher]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7-14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스파이크 존즈 영화 〈그녀〉,인공지능,몸,감정,윤리적 주체,Spike Jonze’s Her,AI,body,emotion,ethical subject

국문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영화 〈그녀〉에서 테오도르와 사만사 사이에 형성되는 복잡한 사랑과 감정에 대해 분석한다. 사랑과 감정을 다루게 될 때 인간적 관점에서 보면 몸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영화 〈그녀〉의 사만사는 몸이 부재한 대상이다. 몸이 없는 상태에서 사랑이 가능한가? 몸이 부재한 상태라면 타자를 느끼고 판단할 때 사만사가 윤리적 측면에 적용되는 도덕적 행위자나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을까라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사만사는 운영체제로서 외롭고 소심한 남자 테오도르가 구매한 상품이다. 2025년의 미래세계에서 손편지 대필작가로 일하는 테오도르는 서로 사랑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테오도르는 그의 부인과의 사이에서 진정한 그리고 실제적인 소통이 부재한 관계로 이혼한다. 그가 운영체제를 구입했을 때 그는 운영체제의 매력에 이끌리고 나아가 이 관계를 통해 치유과정을 거친다. 그럼에도 이 논문에서는 인간이 인간의 존재 조건이라 할 수 있는 감정과 윤리를 프로그래밍화한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 있는가 그리고 비록 가능할지라도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랑이 인간의 관계처럼 가능한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eal and romantic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and an AI in Spike Jonze’s her. When it comes to love and emotion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have a body from a humane perspective; but Samantha has no body. Is it possible to have emotion without any body? Without a body, Samantha is unable to be a moral agent or an ethical subject, who feels and judges others with consideration of ethics. Samantha is an OS that is purchased by a lonely and shy man, Theodore, who works as a ghost writer for people in a future world in 2025. Theodore pretends to understand those people who suffer from or love each other, but ironically he gets divorced due to his lack of communication with his wife. When he buys an AI software who makes her own name, he is fascinated by the AI, Samantha, and then he seems to go through a healing process by building up a close relationship with Samantha. Nonetheless, this paper doubts whether humans can create or develop an AI equipped with emotion and ethics, which is a real condition to be a human, not an AI, and whether a man and an AI are able to love each other.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인공지능에 관한 문제제기  Ⅱ. 영화 〈그녀〉: 인공지능과 윤리적 주체  Ⅲ. 나가며: 인공지능과의 사랑은 불안하다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08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김경천 2001  176
2007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5
20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형사책임 / 이창민 2018  175
2005 9 보건의료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윤지영 2017  175
200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2003 9 보건의료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윤도연 2016  175
2002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200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식세포 기증·수증의 공적 관리 및 지원 / 김은애 2009  175
200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5
1999 9 보건의료 에이즈(AIDS) 환자의 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자의 윤리의식연구 : 생명의료윤리 입장에서 / 이용석 1999  175
199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1997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 정희윤 2015  174
1996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2016  174
1995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4
199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체세포 역분화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iPS)의 의학적 효용성 / 박세필 2009  174
1993 19 장기 조직 이식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의 기증 경험 / 유재연 2016  174
199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조사 연구 / 김태은 2004  174
1991 8 환자 의사 관계 오스트리아 환자사전의사표시법(PatVG) / 이석배 2007  174
199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 김종호 2018  173
1989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영성, 존엄사에 대한 태도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 / 박미선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