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經營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41123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Are We Homo Moralis? Neuroethical Investigation of Decision Processes for Moral Dilemmas


  • 저자[authors] 윤진호(Jin Ho Yun),이은주(Eun-Ju Lee),장정(Jing Zha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經營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8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경영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7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호모 모랄리스,신경윤리학,도덕 딜레마,사건관련전위,Homo Moralis,Neuroethics,Moral Dilemma,ERP


국문 초록[abstracts]


소비자와 경영자들은 일상 속에서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한다. 딜레마는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며, 대체로 하나의 대안이 다른 대안보다 절대적 우위를 가지지 않는 갈등 상황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과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피험자들이 기업경영과 관련된 도덕 딜레마를 접했을 때의 뇌 반응을 뇌파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특히 호모 모랄리스(homo moralis)의 뇌에서 도덕적 의사결정 및 행동을 주관하는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을 규명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도덕 딜레마는 사회적 딜레마와 개인적 딜레마의 두 가지 유형으로, 개인적 딜레마의 경우 의사 결정자의 윤리 위반과 연관된 대상 및 피해 범위가 개인적 수준에 머무는 경우이며, 사회적 딜레마의 경우는 도덕규범위반이 사회적으로 위중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행동조사에서는 딜레마 유형에 따라 도덕적 선택/이윤 추구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뇌파실험결과에서는 두 딜레마가 신경과학적으로 다른 기제로 처리됨을 보여준다. 사회적 딜레마의 경우 부정적 감성 반응을 나타내는 우측 전전두엽에서의 반응이 개인적 딜레마보다 더 유의하게 활성화 되었으며, 도덕 판단의 반응 시간도 더 짧아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기제가 자동적인 직관에 근거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개인적 딜레마에서는 공감과 관련된 뇌부위로 알려진 측두엽의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반응시간도 직관적 반응보다 느렸다. 두 가지 딜레마 모두 최종 단계에서는 자기 제어와 관련된 좌측 전두엽의 활성과 더불어 윤리적 선택 결정이 이루어졌다. 도덕 딜레마 해결 시 직관, 공감, 제어라는 세 가지 요소의 협력 기제가 사용되며 이는 도덕적 인간, 다시 말해 호모 모랄리스의 도덕심성이 본성, 정서, 이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Moral dilemma is a situation where a decision maker must choose between a moral choice and utilitarian (economical) benefit. For business decision makers, utilitarianism/economic performance is an important professional value, hence business moral dilemmas present a psychological conflict that is difficult to resolve. We attempt to unveil mechanisms underlying morality during business decision-making in order to see how morality and profit motives can collide in business world. For experiment, we created two types of business moral dilemmas: personal and social, and carried out manipulation check in a behavioral study. Using EEG (electroencephalogram), we recorded subjects’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the choice tasks where individuals faced personal and social moral dilemmas. The ERP results showed that social dilemmas invoked frontal activations in the right hemisphere around 300ms, which suggests the activation of intuitive mechanism. When subjects were given a personal dilemma, their temporal regions, i.e., brain regions which previous neuroscience studies associated with empathy, showed significant activations. At the latest decision phase, subjects’ left prefrontal cortic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activations, reflecting the onset of the brain’s self-control function. This neuroethical investigation reveals that we as human moralis use three-pronged mechanisms of intuition, empathy, and control to make a moral choic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사전 행동실험  Ⅳ. 본 뇌파실험: 뇌 사건관련전위 (Event-Related Potentials)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7 15 유전학 인체유래 생물자원 관련 생명윤리정책 제언 / 조순로, 설성수 2010  511
116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115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11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11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1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11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6
110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10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108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8
10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105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9
104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2
10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102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55
101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9
100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2018  575
9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7
9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