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46953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The Recent Trend of Surrogacy Laws in the U.S. - A Change of Regulatory Regime for Surrogacy in the UPA 2017 -


  • 저자[authors] 진도왕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재산법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5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재산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5-12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http://www.riss.kr/link?id=A105946953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provisions relevant to surrogacy in the U.S. Uniform Parentage Act(UPA) 2017 and to find an implications for surrogacy legislations. Since reproductive technology now allows an infertile couple to utilize surrogacy in order to become parents in absence of a proper regulatory regime, many Korean law scholars have provided a variety of legislation model for surrogacy. Although most those models considerably have a root in the UPA, it has not dealt with new version of the UPA in 2017. The reformed UPA provides some changes in the area of surrogacy law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UPA of 2002. For example, it divides surrogacy types into gestational surrogacy and genetic surrogacy(traditional surrogacy), adopts a different regulatory regime to each types of surrogacy, permits genetic surrogacy with state’s intervention which strengthens a court’s supervision, and allows genetic surrogates to withdraw their consent any time up until 72 hours after the birth of a child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on. These changes result not from a whole new legal theory or practice, but from a reflection of the current surrogacy practice,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some states of the U.S. Thus, the new UPA is much more indicative of the trend of surrogacy laws in the U.S. than the previous version.



국문 초록[abstracts] 

이 글에서는 2017년 미국 통일친자법의 내용 중 대리모에 관한 사항을 소개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한다. 입법적 공백 속에서 대리모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그간 우리 학계에서는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이 많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한 입법론의 근거로서 자주 차용되는 것이 미국의 통일친자법인데, 새롭게 정비된 2017년의 통일친자법은 아직 다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개정된 통일친자법은 대리모에 관한 한 과거 2002년의 통일친자법으로부터 꽤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리모의 유형을 출산대리모와 유전적 대리모(전통적 대리모)로 이분하여 각기 다른 규율을 하고, 유전적 대리모를 허용하되 법원의 감독과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그 대리모에게 자녀 출생 이후에도 일정 시점까지는 대리모계약을 철회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완전히 새로운 법리를 정립한 결과라기보다는 2002년 이후 미국 내 각주들이 발전시키고 또 실제로 적용해 온 판례나 입법을 선별하여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새 통일친자법은 과거의 통일친자법보다 미국의 대리모에 관한 입법동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새로운 통일친자법의 대리모 규정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국내의 입법론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4
27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2
2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25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31
»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9
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1
2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2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1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18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1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1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5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1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1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1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2
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8
1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