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日本學報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75689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Changes in Japan's Fertility Policy and Its Gender Implications


  • 저자[authors] 이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日本學報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118[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일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79-40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Japan implemented its fertility policy to control the population in terms of the population policy. The 1990s shock of 1.57 children per family opened up a new political space that could move Japan's fertility policy out of the population policy and within the scope of family policy. For 25 years, the mainstream of Japan's low fertility measures has been shifted from child care support to work-family balance, and it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hildcare support, a childcare leave system, and child allowance. A certification system for childcare support companies that requires the mandatory implementation of various measures has been promoted. However, in these 25 years, the low fertility measures failed to remove the division of gender roles, and caused the stratification of women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benefits of a low fertility measure. Above all, female productivity was emphasized under Abenomics, which introduced a measure to encourage explicit and direct birth by raising the numerical birth rate target. On the other hand, women are reduced to biological sex as a “birth sex,” and Japan's low fertility measures are being subsumed by the population policy again.


국문 초록[abstracts]

1991년부터 25년간 추진돼온 일본의 저출산대책은 전후 유지되어왔던 가족정책의 변화를 그 출발점으로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과 이후 일본의 출산정책은 인구정책의 차원에서 인구의 총수를 조절하기 위해 실시되어왔다. 1990년의 ‘1.57쇼크’는 일본의 출산정책을 인구정책에서 벗어나 가족정책의 범주에서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 공간을 열었다. 전후 유지돼온 일본의 가족정책은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이다. 일본의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은 종신고용, 연공서열, 연공임금을 수단으로 하는 남성의 고용과 배우자공제, 배우자특별공제, 유족연금, 후생연금 등의 지원을 받는 피부양자로서 육아, 가사, 돌봄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전업주부를 전제로 한다. 일본의 저출산의 원인으로 이 남성생계부양자형 가족정책이 지적되면서 일본정부는 성별역할분업과 의식의 해소, 성평등한 가족정책을 지향함으로써 저출산문제에 대처하고자 했다.  저출산대책의 주류는 육아지원과 ‘일과 가정의 양립’으로 전환되어, 육아지원의 양적 확대, 육아휴가제도와 아동수당의 확충, 육아지원기업인증제도, 지자체와 기업의 행동계획 수립과 시행의 의무화 등 다양한 시책들이 추진되어왔다.  그러나 25년간 추진돼온 일본의 저출산대책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 채 성별역할분업과 그 의식은 여전히 견고하고 저출산대책의 수혜에 있어서 여성의 계층화와 지역별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출산율 수치목표를 내걸고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출산을 장려하는 시책이 도입된 아베노믹스 하에서 여성의 ‘생산성’이 강조되는 한편 여성은 ‘낳는 성’으로서의 생물학적 성으로 환원되고, 일본의 저출산대책은 가족정책에서 다시 인구정책으로 포섭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8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 심보혜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1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발행년 2013 

  • 조회 수 2484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2461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발행년 2016 

  • 조회 수 2412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발행년 2010 

  • 조회 수 2349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15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발행년 2007 

  • 조회 수 2314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84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63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47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39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발행년 2016 

  • 조회 수 221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발행년 2004 

  • 조회 수 2209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93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발행년 2012 

  • 조회 수 2191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발행년 2013 

  • 조회 수 2186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6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발행년 2006 

  • 조회 수 2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