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심리치료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1010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 저자[authors] 허수진

  •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아주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74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 홍정순

  • 참고문헌(p.51-64) 및 부록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심리치료교육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감정노동,조직지원인식,자기위로능력,직무소진,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

  • 소장기관[Holding] 아주대학교 도서관 (241038)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등록 및 ID를 부여 받고 실제로 장기구득 및 이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 중, 본 연구에 동의한 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전체 9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측정도구는 감정노동 척도, 조직지원인식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 직무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감정노동이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을 거쳐 직무소진에 이르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과 조직지원인식, 감정노동과 자기위로능력은 부적상관,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소진, 자기위로능력과 직무소진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감정노동, 조직지원인식, 자기위로능력 중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회복력이 가장 컸으며, 자기노출, 조직지원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무요구-자원 모델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을 많이 경험할수록 조직지원인식이 낮아지고, 낮은 조직지원인식은 자기위로능력 또한 낮아지게 하며, 자기위로능력이 낮을수록 결국 직무소진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그 자체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기위로능력이 특히 중요한 변인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장기기증, 장기이식,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 7

2. 감정노동 8

3. 조직지원인식 12

4. 자기위로능력 14

5. 직무소진 17

6. 직무요구-자원 모델 18

7. 각 변인 간 선행 연구 19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측정도구 25

3. 자료 분석 29

Ⅳ. 연구결과 31

Ⅴ. 논의 45

참고문헌 52

부록 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088 9 보건의료 의학 기사를 중심으로 한 국내 뉴스 Linked Open Data 구축 / 장종선 2016  141
3087 18 인체실험 국내 의학 잡지에 게재된 무작위대조임상시험 논문들의 보고의 질 / 황예원 2008  141
30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2017  141
3085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41
3084 1 윤리학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박득배 2017  141
308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인공지능 기반 국방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체계 기술 개발/심우호 2018  141
3082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2018  141
308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1
3080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2017  141
3079 14 재생산 기술 중국의 냉동배아 상속안에 관한 법적 고찰 / 김현경 2018  141
3078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2013  142
3077 15 유전학 EU법상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및 시사점/김두수 2014  142
3076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42
3075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2016  142
3074 18 인체실험 Genetic Comparison of Stemness of Human Umbilical Cord and Dental Pulp / 김현옥 2016  142
3073 15 유전학 CRISPR/CAS system을 이용한 돼지 단위발생 배아에서 Oct-4 유전자의 삭제와 삽입 / 권정우 2015  142
3072 15 유전학 유전성 대사질환의 착상전 유전진단 / 강인수 2005  142
3071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3070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위한 생체 신호 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석훈 2016  142
3069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2016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