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9373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저자[authors] 김외숙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44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심형화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요양병원,간호사,사전의료의향서,지식,태도

  • 소장기관[Holding]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37)

  • UCI식별코드 I804:21037-200000178299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요양병원 간호사의 효율적인 생의 말기 임종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 D, G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22명이었으며, 연구의 도구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홍선우와 김신미[17]가 개발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를 이용하였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Nolan과 Bruder[18]가 개발하고 2003년 수정․보완한 Advance Directive Attitude Survey (ADAS)를 김미혜[19]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3.4%, 평균 연령은 43.36세, 결혼상태는 ‘기혼’이 73.8%, 종교는 ‘유’가 52.5%, 최종학력은 ‘전문대 졸’이 56.6%로 많았다. 임상근무경력은 ‘3~6년미만’이 36.9%, 요양병원 근무경력은 ‘3~6년미만’이 34.4%이었다.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교육경험은 ‘아니오’가 75.4%였으며, 연명의료제공경험은 ‘예’가 72.1%, 연명의료결정시 간호사 참여의사는 ‘예’ 69.7%로 나타났다.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이해는 ‘예’가 74.6%, ‘아니오’ 25.4%이었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가 59.8%이었으며, 사전의료의 향서 작성 시기는 56.6%가 ‘건강할 때’ 작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2.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9점 만점에 평균 7.61±1.27점이었고,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는 최대 4점을 기준으로 2.92±0.35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과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29, p<.001)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end-of-life care for geriatric hospital nurses by understanding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dvance directives in geriatric hospital.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2 nurses at 10 places of geriatric hospitals in the cities of B, C, and D. The knowledge measurement tool for advance directives developed by Hong sun-woo and Kim shin-mi [17] was used for the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study, and the Advance Directive Attitude Survey (ADAS) developed by Nolan and Bruder [18], modified in 2003 and translated by Kim mi-hye [19] was used for attitudes about advance directives study.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alyzed data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 The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der of the subjects was 93.4% for women, the average age was 43.36 years old for women, 73.8% for married women, 52.5% for having religion, and 56.6% for college graduated. Clinical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three to six years is 36.9%, and geriatric hospital work experience less than three to six years is 34.4%. about 75.4% said they had never been educated about advance directives, while 72.1% said they provided life-care. 69.7% agreed to participate when deciding on a life-care, and 74.6% understood implementation of the well dying law. About 59.8% said they have heard about advance directives and 56.6% said the patients should write advance directives when they are healthy.
2. The subject's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was an average of 7.61 ± 1.27 out of nine, and the subject's attitude about advance directives was 2.92 ± 0.35 out of 4 maximum points.
3.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advance directiv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the subject's advance directives was weak positive correlation (r=.29, p<.001). 
Combining the above results,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es at geriatric hospitals was relatively high. also the more they knew well about advance directives, the more positive attitudes about it were shown.
Key words: geriatric hospital, nurse, advance directives, knowledge, attitude


목차[Table of content]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정의 4
  • Ⅱ. 문헌고찰 5
  • Ⅲ. 연구방법 9
  • 1. 연구 설계 9
  • 2. 연구 대상 9
  • 3. 연구 도구 10
  • 4. 자료 수집 방법과 절차 11
  • 5. 자료 분석 11
  • 6. 윤리적 고려 12
  • Ⅳ. 연구결과 13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 2.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15
  • 3.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17
  •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지식과 태도 19
  • 5.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 21
  • Ⅴ. 논의 22
  • Ⅵ. 결론 및 제언 26
  • Ⅶ. 참고문헌 28
  • 부록 34
  • 영문초록(Abstract) 4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808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2
180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2015  272
180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및 대상자 보호프로그램(HRPP)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272
1805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180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80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합리적인 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 윤이레 2014  273
1802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1801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80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1799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사례 및 연구 / 박요셉 2015  273
1798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2010  273
179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 이주민 2017  273
1796 20 죽음과 죽어감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죽음과 죽음 극복 가능성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안남희 2017  273
179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의사의 탈전문화에 관한 연구 / 박호진 2008  274
1794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7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 김병운 2016  274
»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외숙 2019  274
1791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179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78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