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평과이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48519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Animal Rights and the Culture of Care

  • 저자[authors] 최성희(Sunghee Choi),김용규(Yong-gyu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비평과이론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비평이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7-165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840

  • 주제어[descriptor] 동물의 권리,분리,세계,데리다,아감벤,person,돌봄의 문화,Animal rights,separation,the world,Derrida,Agamben,Heidegger,‘person’,culture of care


국문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동물의 권리는 어떤 근거에 따라 부여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중심으로, 인간과 동물 사이의 분리의 역사를 계보학적으로 진단하면서, 인간중심적으로 이론화되고 실천되어온 ‘권리’의 개념을 동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탐구한다. 아울러 권리의 문제와 관련해서 분리의 문화가 ‘돌봄의 문화’로 변해야 할 필요성과 그 의미를 짚어본다. 먼저, 인간의 문화 자체는 선사시대부터 두려움 이라는 정동에 기반해 왔으며, 이런 정동적 작용이 인간과 동물의 분리를 가속화하고 정교화하는 기제로 작동했음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현대의 대표적인 철학자인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동물론과 그것에 대한 데리다(Jacques Derrida) 및 아감벤(Giorgio Agamben)의 비판을 살펴보면서 이론적인 측면에서 대두되는 뿌리깊은 분리의 개념 및 개념화 과정들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동물과 인간의 사이의 분리는 정교한 철학의 형태에서도 여전히 작동하는 메카니즘이며, 아감벤이 말하는 ‘인간학적 기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발견한다. 마지막으로 동물과 인간의 분리를 개선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동물을 ‘퍼슨’(person)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을 소개하고 분석하면서 이것이 어떻게 동물과 인간이 어울리는 ‘돌봄의 문화’ 에 기여할 수 있을지를 진단해본다. 이 두 가지는 동물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두 가지 측면의 답변, 즉 동물은 내면성을 지닌 자율적 존재라는 측면과 인간에 대한 동물들의 근접성이 높아져가는 관계의 측면에서 도출되어 나오는 결론들이다. 동물을 인간의 소유물로서의 대상이 아닌 인간과 같은 독립적 존재로 인정하는 것과 아울러 동물에 대한 인간의 지배적 특권을 포기하는 ‘돌아봄의 문화’, 즉 ‘돌봄의 문화’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On what ground could rights be given to animals? It is an essential question that ask which new grounds could be effectively derived beyond the long history of human deprivation of animals, as well as making us rethink the concept of right that has been theorized and practiced anthropocentrically. We can find many thinkers who criticize such a history including Jacques Derrida and Giorgio Agamben. Derrida says that the animal is a word on which men have given themselves the right and the authority to give to non-human animals, and Agamben argues that the relation between men and animals is fettered and controlled by the “anthropological machine.” They are common in concentrating on the matter how the articulations between the human and the animal have been processed and established. To discuss on the matter of animal rights, we should primarily reflect on the privilege of human, through which they have understood, judged, and grasped non-human beings. In the recent discourses, thinkers who attempt to rethink on the animal tend to urge that we should develop the argument based on suffering, not on capacities. But, the norm of suffering seems not enough, because, if any right is given to animals based on the suffering, it also presupposes the hierarchy between men and animal. So, how or where do we find grounds for animal rights? We could approach in twofold aspects: one is from the aspect of the interiority of animals, and the other is from their relationship with our humans. Animals who are self-aware or sentient can be considered as having their own autonomy, that is, a sort of infinity that cannot be defined or fully anticipated by other beings. This notion leads to extending the idea of ‘person’ to animals. On the other hand, from the aspect of relationship, the fact that animals’ proximity to men is getting closer and closer, and we are required to change our human culture into the ‘culture of care’.

목차[Table of content]
1. 권리와 분리 2. 분리의 계보학 4. 평등 대신 ‘퍼슨’ 5. 돌봄의 문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28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12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25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 황지환 2017  48
124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123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2015  48
122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2018  47
121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상일 2018  47
12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119 9 보건의료 의료개혁과 의료계획의 수립/이규식, 이신호, 신현웅 2017  47
118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에 따른 국민의 의료기관 이용 변화 조사/김민경 외 2018  47
11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7
116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47
115 9 보건의료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배영임 외 2016  47
114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를 둔 어머니의 경험 / 이명선 외 2001  47
113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7  47
112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2015  47
111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110 9 보건의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 신영석 2017  47
109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의료관광 분쟁시 책임주체에 대한 검토 / 문상혁 201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