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도덕윤리과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2899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 A View From the Concept of Rights

  • 저자[authors] 추정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도덕윤리과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62[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3-17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Concerns over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are growing. In order to diagnose and evaluate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art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rights encompassing human rights. From this point of view, I briefly reviewed the meaning and formation conditions of rights,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human rights, and then summarized the necessary elements to approve the rights issue by rights holders, rights contents, and rights guarantee methods. The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as legal and moral aspects and then emphasized the intention of human rights as a moral right by addressing the limits of human rights as legal righ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North Korean style human rights asserted by North Korea, and to show that the position of North Korea cannot function as a sufficient reaction against the criticism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국문 초록[abstracts]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국내외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 북한의 인권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권을 포괄하고 있는 권리 일반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권리일반의 의미와 형성 조건을 간략히 검토한 후 권리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권리 주체, 권리 내용, 그리고 권리 보장방법 등으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인권의 법적 권리로서의 특성과 도덕적 권리로서의 특성을 구분하여 논의한 후 법적 권리로서 인권의 한계를 언급하여 도덕적 권리로서 인권이 지닌 지향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권 개념의 종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북한이 주장하고 있는 우리식 인권관의 특징과 내용을 살펴보고, 북한의 입장이 북한 인권 문제의 비판에 대한 충분한 반론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4548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상일 2018  47
4547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2018  47
4546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2015  48
4545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4544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 황지환 2017  48
454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454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4541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4540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
4539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453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규제와 자녀의 복리 원칙 - I. Glenn Cohen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권재문 2017  48
453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
4536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4535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49
453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45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4532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4531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2017  49
4530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4529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