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14222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uicide intervention service provision

  • 저자[authors] 노승현,김연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0-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eight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d suicide crisis interventions for more than 2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topic groups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themes are ‘thrown into the confusion of suicide’, which represents the experience of entry into the suicide crisis intervention, ‘surviving on your own’, which represents the essence of the work process experience, ‘Reflection and maturedness about life and death’, which represents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of maturity through the suicide crisis interven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polic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haustion mitigation measures, strengthen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expanding the public authority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strengthening institutional basis of suicide prevention project.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종사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 수행 경험을 심층적, 다면적으로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 이상 자살위기개입 경험이 있는 8명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주제묶음과 1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3개의 주제 묶음은 자살위기개입 업무로의 진입 경험을 나타내는 ‘‘자살’이라는 혼란에 내던져짐’, 업무수행 과정경험의 본질을 나타내는 ‘각자도생하며 발버둥치는 현실’, 자살위기개입 과정을 통한 인식변화와 성숙의 경험을 나타내는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과 성숙해져감’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완화 대책, 교육훈련 강화라는 실천적 제안과 정신건강복지센터의 공적 권한 확대와 자살예방사업의 제도적 기반 강화라는 정책적 보완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48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5
3647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5
3646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5
364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3644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장아영 외 2018  105
3643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364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5
3641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
364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3639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363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3637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5
3636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3635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3634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3633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3632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363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63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3629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