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내과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63514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Completion rate of physician orders for life sustaining treatment(POLST) in patients with metastatic or recurrent cancer when suggested by physicians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 저자[authors] 김주원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36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경화<br>참고문헌: 장 26-2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내과학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완화의료,종양학
  • 소장기관[Holding] 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


초록
노인 인구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노년기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한국 사회의 생애 말기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6년 제정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은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이다. 본 법률은 사전돌봄계획의 일부로서 연명의료계획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작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중 연명의료계획서는 말기 질환의 환자로 하여금 스스로 연명의료계획을 세우게 함으로서 환자 본인의 뜻을 존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서이다. 암 환자는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의 주요 대상군으로서, 이 중 특히 타 장기로 전이되거나 재발한 암을 가진 환자의 경우 질병 진행과정의 특성 상 적절한 사전돌봄계획의 수립이 환자의 연명기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법률 시행 초기 단계에 있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재발성, 전이성 암 환자에게 담당 의사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권유하였을 때 작성률과 실제 작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환자들의 연명기 치료에 대한 전반적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재발성, 전이성 암 환자 중 담당 의사의 판단으로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이 필요한 환자에게 담당 의사가 직접 작성을 제안하였고, 작성 수락 혹은 거절의 이유와 전반적인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77명의 환자가 연구에 등록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5세, 암 진단 후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제안받은 시점까지의 기간은 36개월,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제안한 담당 의사에게 진료를 받은 기간은 20개월로 나타났다. 77명의 환자 중 52명(67.5%)의 환자가 작성을 수락하였다. 작성을 수락한 52명 중 46명(88.6%)은 임종기의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을 거부하였으나 항암제 투여는 지속하기를 원했다. 암종 중에서는 유방암 환자의 작성률이 높았으며,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상대적 고학력자에서 작성률이 높았다. 또한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수락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관련 용어나 제도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작성 수락의 이유로는 ‘보호자가 아닌 본인의 의지를 남겨두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작성 거절의 이유로는 ‘보호자와 상의가 더 필요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각각의 환자에게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제안한 이후 약 6개월간의 추적 관찰하였고, 이 기간 동안 3건의 사망이 발생하였다. 이 중 2명은 항암제를 제외한 연명기 치료를 유보하는 연명의료계획서를 등록하였고 1명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하지 않았으나 3명 모두 임종기에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항암제를 행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치료중인 전이성, 재발성 암 환자에서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을 제안하였을 때의 작성률과 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련 제도 및 용어의 혼란으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사전돌봄계획을 수립하고 법률의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1
Abstract 3
I. Introduction 6
II .Methods 9
1. Participants 9
2. Study protocol 9
3. POLST in South Korea 10
4. Statistical analysis 12
5. Ethical considerations 13
III . Results 14
1. Study populations 14
2. POLST completion rate and the reason for the decision 14
3. Factors associated to POLST completion rate 15
4. Comparison of awareness between POLST-completed and non-completed group 16
5. Questions about end of life care 17
6. Willingness to use a hospice care center 17
7. How patients will implemented at the last days of life 18
IV. Discussion 19
References 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6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2967 15 유전학 개인유전자정보를 통한 질병예측인덱스 설계와 개인맞춤형 건강 시스템 개발 / 서영우 2018  149
2966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2965 12 낙태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김광재 2018  149
2964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49
»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49
2962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296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2960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2959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2958 7 의료사회학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하명호 2016  150
2957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50
2956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50
2955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50
2954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2953 1 윤리학 스피노자철학에서의 동물과 윤리 / 김익현 2005  150
2952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50
2951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50
295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50
294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