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69472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Comparative Debate on the Criteria of brain death and civil legal effect

  • 저자[authors] 김기영(Ki-You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No.1[2019]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4-5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사망,뇌사,불가역적 뇌기능상실,민법,입법,death,brain death,irreversible brain malfunction,civil law,legislation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뇌사의 기준과 뇌사 개념의 논쟁에 대한 최근 동향과 새로운 법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법적으로 인간의 사망은 치료의 종결을 의미하고 가능한 한 장기구득의 대상이 될 수도 있으며, 뇌사의 진단이 결정되면 보통은 인공적인 호흡도 대부분 종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뇌사는 모든 인지능력을 완전히 잃었을 뿐 만 아니라 신체의 중앙제어 단위가 상실된 것을 기록된다. 이에 대해 독일윤리위원회(Deutschen Ethikrat)의 대다수 위원들은 “유기체의 단위는 깨졌으며 이러한 상태에 있는 신체는 더 이상 살아있는 사람으로 말할 수 없다”고 한다. 뇌사 판정을 위한 기록과 판단기준에 대한 일부 불명확성이나 흠결이 있다면 뇌사판정에 대한 명확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뇌사 개념의 논쟁을 둘러싼 비교법적인 검토와 사망 확정에 대한 원칙과 아울러 장기 또는 조직 기증의 문제와 관계없이 추가적 치료 결정을 위한 집중 치료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예후 평가의 수단으로 인정하는 뇌사 개념을 강화할 목적으로 뇌사확정에 대한 기준 강화와 질적 관리를 위해 최근 2015년 개정된 독일 연방의사회(BÄK)의 지침의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고(Ⅱ), 법적인 측면에서 뇌사의 민법상 효과도 살펴보고 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Ⅲ). 마지막으로 이러한 독일의 뇌사확정에 대한 지침개정의 의의와 뇌사기준의 강화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문제들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Ⅳ).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recent trends in the debate on the concept of brain death and new legal issues. Legally, human death means termination of treatment, possibly as long as possible for organ acquisition. When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is determined, most of the artificial respiration is usually terminated. Brain death is not only a loss of all cognitive abilities but also a loss of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body. The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Deutschen Ethikrat said that the unit of the organism was broken and that the body in this state can no longer be said to be a living person. If there are some uncertainties or deficiencies in the records and judgment criteria for the brain death, it may arise the question of clarity and reliability of the brain death judgment.    In this respect, we review the comparative review of the debate over the concept of brain death and review the principles of death confirmation, and recognize it as an indispensable means of assessing prognosis for intensive care for additional treatment decisions, regardless of organ or tissue donation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BÄK guideline of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which was recently revised in 2015 to strengthen the standards of brain death confirm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brain death(Ⅱ).    In the legal aspect, it is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 civil law on the brain death and and how it affects them(Ⅲ). Finally, Finally, the conclusion suggests the significance of the amendment of the guideline on the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in Germany, the evaluation of the strengthening of brain death standards, and the prospect of new problems(Ⅳ).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뇌사 개념의 논쟁 : 비교법적 검토  Ⅲ. 사망의 시점관련 전망과 효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웹 기반 OLAP 서버 구현 / 김진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8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및 한방난임치료 지원사업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발행년 2004 

  • 조회 수 6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발행년 2007 

  • 조회 수 6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8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발행년 2015 

  • 조회 수 68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발행년 2017 

  • 조회 수 68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에서의 헌법이론 -헌법질서의 확립과 가이드라인 시대의 서언 / 손형섭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

2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칙 외 / 생명윤리 편집부

발행년 2015 

  • 조회 수 6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67

5 과학 기술 사회 외국법 자료 / 석희태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한 사무장병원 규제/이명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고등학생의 보건의료소비자 알 권리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김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통합 방안 / 정일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발행년 2010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