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0087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 저자[authors] 홍석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2No.-[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2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선, 윤리학, 생명과학기술, 아리스토텔레스, 인격주의,good, life science technology, Aristotle, true good, personalistic bioethics


국문 초록[abstracts]
중ㆍ고등학교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과학기술 및 생명과학기술의 윤 리성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주요 학습 주제 중 하나이다. 생명과학기 술 및 생명공학의 현란한 성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오늘날 이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은 매우 중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자신의 행위와 선택, 기예와 탐구를 통해 선(善)의 실현을 목표 로 하는데, 그 중에 어떤 것은 “외견상의 선”을, 어떤 것은 “진리에 따 른 선”을 목표로 한다고 말한다. 본고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런 통찰을 활용하여, 생명과학기술 및 생명공학을 통해 인간이 실현하고 자 하는 선의 특징과 그 한계를 탐구하고, 그것이 “진리에 따른 선”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어떤 숙고와 노력이 필요한지를 현상학적 가치론과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논의를 활용하여 성찰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Ethical inquiry and consideration on the life science technology is one of the main topics of moral subject curriculum. Today the expectation and concern on the outcomes of life science technology arise simultaneously. Ethical reflection on the life science technology is demanded in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Aristotle, human every art and every inquiry and similarly every action and pursuit is thought to aim at some good. He told that the man of good character pursues the true good but the bad man seeks any chance thing, apparent good. This paper firstly inquiries the nature and limit of the good pursed by life science technology, secondary reflects that what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the realization the true good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value theory and personalistic bioethic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생명과학기술: “외견상의 선” 추구  Ⅲ. “진리에 따른 선” 지향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발행년 2010 

  • 조회 수 105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발행년 2008 

  • 조회 수 105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 생성정보의 처리 체계 - 추론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박광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5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5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6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