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69473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The Identities of researchers and patients in the globalized medical market

  • 저자[authors] 한광희(Gwanghee Ha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No.1[2019]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9-8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의료이주,시장,정체성,전지구적 의료시장,의생명공학 거버넌스,Medical Migration,Market,Identity,Globalized Medical Market,Bio-technology Governance


국문 초록[abstracts] 
이 글은 국가 간의 법규, 제도, 인프라스트럭처 등의 차이를 활용해 생의학적 혁신과 임상적용을 추구하는 의료이주(medical migration)를 분석한다. 의료이주는 특정한 연구자와 환자를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서, 환자의 이동을 강조하는 의료관광과는 구별된다. 의료이주는 의료시장의 전지구적 확장 없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연구자와 환자는 각각 기업가와 소비자라는 시장 기반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들의 정체성은 의생명 기술의 연구개발과 임상적용 과정에서 발생할 위험의 인식과 수용에 큰 영향을 준다. 윤리적 기준이 고도로 개인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전지구적 의료시장을 이해하기 위해 백혈병 환자들의 탈국경적 약물 구입 사례와, 줄기세포 바이오 벤처 기업의 해외 이주 사례를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현재 한국의 의생명공학 거버넌스를 시장지향적 거버넌스라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참여적 거버넌스를 제시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medical migration that pursues biomedical innov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by taking advantage of differences in laws, institutions, infrastructures between countries. Medical migration is distinguished from medical tourism, which emphasizes patient movement, in that involves both specific researchers and patients. Medical migr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the global expansion of the medical market. And, in this process, researchers and patients form market-based identities with entrepreneurs and consumers, respectively. These identities have a major impact on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the hazard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lif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s. The ethical standards are highly personalized. In this article, I would analyze two different cases to understand the global medical market. One is The case of leukemia drug purchase and The other case of stem cell bio-venture companies which was migrated abroad. Finally, Korean bio-technological governance is defined as market-oriented governance, and I suggest citizen-participated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치료적 희망과 소비자-환자 정체성의 등장  Ⅲ. 의료시장과 의료현장의 변화 : 개인화와 기업화  Ⅳ. 초국적 시장과 의료 이주(Medical Migration)  Ⅴ. 환자-소비자 중심의 의료 이주와 연구자-기업가 중심의 의료 이주  Ⅲ. 결론 : 개인화된 행위자들의 제한된 권리와 의생명 기술의 거버넌스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337 9 보건의료 일본의 재택의료제도 현황과 시사점 / 남상요 2019  311
336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5
33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6
334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7
»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332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331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33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0
329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10
328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5
327 1 윤리학 치매상담센터 종사자의 업무 수행도-필요도 분석 / 어수지 2018  224
326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5
32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3
32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2
323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신뢰에 기반한 환자-의사 관계 / 오승민, 김평만 2018  211
322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9
321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7
320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6
31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