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8562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Convergence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 저자[authors] 이성수,최혜란
  • 학술지명  디지털융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1-24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The participants were 191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program.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r=.26, p<.001) and the subscales of empathy, which were perspective-taking (r=.30, p<.001) and empathic concern (r=.27, p<.001).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culture were perspective-taking (β=.27, p<.001), professional autonomy (β=.20, p=.004), and a total clinical career of over ten years (β=.17, p=.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enhance the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f nur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repeatedly in various groups in the future.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19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전문직 자율성(r=.26, p<.001),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r=.30, p<.001), 공감적 관심(r=.2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감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β=.27, p<.001), 전문직 자율성(β=.20, p=.004), 11년 이상의 총 임상 경력(β=.17, p=.012)이었고, 세 개의 변수의 설명력은 15%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증진의 영향요인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표본 집단에서의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91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발행년 2012 

  • 조회 수 915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4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912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발행년 2007 

  • 조회 수 905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발행년 2013 

  • 조회 수 901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90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발행년 2004 

  • 조회 수 89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899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89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발행년 2001 

  • 조회 수 89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895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발행년 2015 

  • 조회 수 895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발행년 2005 

  • 조회 수 892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발행년 2008 

  • 조회 수 892

1 윤리학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이기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891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890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8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