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4819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US Legislative Trends and Implications for Gene Editing Technology

  • 저자[authors] 장인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美國憲法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1[2019]
  • 발행처[publisher] 미국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3-2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 the United States, genetic edit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studies that only stayed on the interpretation of genes have developed to the point where they can edit or transform genes. The United States, a leading country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ene edit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ing its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ies by developing and mass-producing and exporting crops with high pesticide-resistance and high productivity using gene editing technology. The United States also focuse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drugs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medicine using gene editing technology.  In this situ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rns of the danger of genetic editing technology. Especially,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unexpected risks that may arise due t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uch as genetically modified grains, And that there is a need to do so. Most of all, there is a growing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regulation of gene editing technology, and the legislative trends in the legal aspect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ene editing technology in the United States suggest that the use and regulation of genetic editing technology Bi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how the US, which is leading the gene editing technology, is responding to securing the safety of genetic editing technology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legislative trends related to the legal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egislative trend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legislative realities and problems in Korea, and consider the points to consider in using or regulating gene editing technology in Korea.  In the future, we will examine the desirable direction of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guarantee the safety of consumers and the trust of consumers in products that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using genetic editing technology in Korea in the future by safe and continuous use or regulation of gene editing technology.
국문 초록[abstracts] 
미국에서 유전자편집기술이 개발되면서 유전자의 해석에만 머물렀던 연구가 유전자를 편집 즉 변형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유전자편집기술 연구・개발에 있어 선도국인 미국은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해 병충해에 강한 작물, 생산성이 높은 곡물 등을 개발하고 대량으로 생산・수출함으로써 자국의 농업・축산업 등 발전을 도모해왔다. 또한 미국은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해 약학 분야와 의학 분야에서 신약개발・신종장기 등 새로운 연구・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사회는 유전자편집기술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으며, 특히 유전자편집곡물・유전자편집가축 등과 같은 유전자가 조작된 유전자편집생명체들로 인하여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위험성에 대한 안전성이 필수적으로 담보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무엇보다 유전자편집기술의 이용과 규제에 대한 논란이 점증하는 상황에서 유전자편집선도국인 미국이 유전자편집기술 연구・개발 등과 관련된 법제도적 측면에서 취하고 있는 입법적 동향은 우리나라에서 유전자편집기술의 이용과 규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유전자편집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요구하는 유전자편집기술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과 법제도적 장치와 관련된 입법동향을 구체적으로 분석・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우리나라 입법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 또는 규제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을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전자편집기술이 적절하게 법제도적으로 규제됨으로써 유전자편집기술이 이용돼 연구・개발된 생산물에 대한 안전성이 담보되고 인간존엄성・생명권・환경권 등 헌법적 가치가 침해되지 않는 바람직한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288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김선제 외 2017  59
287 9 보건의료 정밀의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정보 보호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배상호 외 2016  59
286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285 14 재생산 기술 인간의 탄생성과 출산행위 / 공병혜 2017  59
284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28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치료 중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미옥 외 2016  59
282 9 보건의료 제네릭의 약품의 생물학적동등성 인정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의경 2004  59
28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280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27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278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277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276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275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274 18 인체실험 The Paradoxical Problem with Multiple-IRB Review 2010  59
27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8
272 9 보건의료 미래의료와 환자안전 / 김소윤 2018  58
271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270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2016  58
269 23 연구윤리 줄기세포 연구자의 연구 윤리 일반에 관한 인식 및 절차 / 최은경 외 2008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