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JKMA : 대한의사협회지 v.51 no.6 
관련링크 : http://kmbase.medric.or.kr/Main.aspx?men...0510060524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End-of-life Decision in Korea


/ 허대석 ( Heo Dae-Seok )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대한의사협회지 2008년 51권 6호 p.524 ~ 529

 


 

Abstract


There are more than 65,000 cancer deaths per year in Korea. To what extent should we continue aggressive treatment in terminal patients? In the course of clinical care of a critically ill patient it may become clear that the patient is inevitably dying, the goal of medical treatment should not be to prolong the dying process without benefit to the patient or to others. Further intervention which will do no more than prolong the active dying process is often described as “futile.” Even though hospice is widely accepted in Korea, there is still controversy about withholding 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Conflicts between the parties may interrupt satisfactory decision-making and adversely affect patient care, family satisfaction, and physicianclinical team functioning. When further intervention to prolong the life of a patient becomes futile, 

physicians have an obligation to shift the intent of care toward comfort and closure. However, there are necessary value judgments involved in coming to the assessment of futility. In this context, Korean society needs consensus agreement on futility issue, based on our own social values.



KeyWords

치료 무용, 생명연장 치료, 말기 환자 

Futility, Life-sustaining treatment, Terminal patient


http://kmbase.medric.or.kr/Main.aspx?menu=01&d=KMBASE&m=VIEW&i=06147200805100605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발행년 2016 

  • 조회 수 97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4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발행년 2016 

  • 조회 수 1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발행년 2017 

  • 조회 수 1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발행년 2009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발행년 2015 

  • 조회 수 175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82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발행년 2017 

  • 조회 수 18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웰다잉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화

발행년 2016 

  • 조회 수 20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2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2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인식변화 : 임종, 상장례 중심으로/ 정일련

발행년 2019 

  • 조회 수 21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발행년 2006 

  • 조회 수 22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우울증과 자살예방을 위한 동태분석 연구: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 김정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23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