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의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52581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불임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임신율 = (A) lifestyle and pregnancy rate in the patients undergoing IVF & ET


  • 저자 : 박승근
  • 형태사항 : vi, 7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황정혜
    국문요지: p. 74-75.
    Abstract: p.
    부록: 1. 2007년도 불임부부지원사업안내, 2. 설문지.
    참고문헌 : p.31-44.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의학 2009.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 주제어 : 산부인과



초록 ( Abstract )

  • 연구배경 및 목적: 불임의 원인은 남성요인, 난관요인, 배란요인 등 의학적인 원인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불임을 초래할 수 있는 생식능력의 변화는 이 외에도 외적인 즉 사회적 요인 및 생...
  • 연구배경 및 목적: 불임의 원인은 남성요인, 난관요인, 배란요인 등 의학적인 원인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불임을 초래할 수 있는 생식능력의 변화는 이 외에도 외적인 즉 사회적 요인 및 생활습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보조생식술 특히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받은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의학적, 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 불임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흡연, 음주, BMI, 카페인 섭취 등 생활습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정부의 불임부부 지원 사업 수혜대상인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시행한 불임 환자 10,6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설문에 응답하였던 1594예 중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30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즉 임신군과 비 임신군 사이의 환자 연령, 불임기간, 채취 난자 수, 이식 배아 수,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BMI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33.5±4.1세(범위 21~46세)였으며, 30세~34세 사이가 147예(48.4%)로 가장 많았으며, 임신군과 비 임신군의 평균 연령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평균 불임 기간은 5.1±3.3년(범위 0.3~20.0년)으로 3~5년 사이가 98예(32.3%)로 가장 많았으며, 임신군과 비 임신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불임의 원인을 보면 원인 불명이 115예(38.0%)로 가장 많았고, 난관요인이 67예(22.1%)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시 채취 된 평균 난자 수는 11.7±8.9개였으며, 임신군과 비 임신군의 평균 난자 수는 각각 15.4±11.3개, 10.5±7.7개로 임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02). 또한 평균 이식배아 수는 3.5±1.5개였으며, 임신군과 비 임신군의 평균 이식 배아 수는 각각 3.7±1.0개, 3.4±1.6개로 역시 임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41). 303예 중 74예에서 임신(초음파상 태낭이 확인된 경우로, 화학적 임신과 자궁 외 임신은 제외)이 되어 26.6%의 배아이식당 임신율을 보였고, 냉동배아 이식 임신율은 45.5%였으며, 이중 단태임신은 51예(68.9%), 쌍태임신 15예(20.3%), 자궁 외 임신은 3예(1.1%)였다. 그 외 임신군과 비 임신군사이 학력수준, 소득수준, BMI 지수, 흡연유무, 카페인섭취, 음주, 스트레스 정도 등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2007년 불임부부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임신군에서 채취 난자수와 이식 배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지만, 그 외 교육정도, 소득정도, 환자의 연령, 불임기간,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BMI 등 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경우 생활습관과 불임과는 많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생활습관과의 임신과의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찾기는 어려웠는데 특히 음주, 흡연 비율이 서양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빈도를 보여 우리나라 여성들의 생활방식이 아직은 서양의 경우와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연구 대상의 수가 작고,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국한되어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1. 연구대상 = 3

    2. 설문 조사 및 방법 = 3

    3.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 4

    Ⅲ. 연구결과 = 5

    1. 생활습관 관련 특성 = 5

    1-1. 학력수준 = 5

    1-2. 소득수준 = 5

    1-3. 흡연여부 = 6

    1-4. 음주여부 = 6

    1-5. 기호품(카페인) 섭취 = 7

    1-6. Body mass index (BMI) = 8

    1-7. 정신적 스트레스 = 9

    2. 불임관련 일반적 특성 = 10

    2-1. 연령 및 연령분포 = 10

    2-2. 불임 기간 = 11

    2-3. 불임의 원인 = 11

    3. 임신결과 = 12

    3-1. 보조생식술 종류 = 12

    3-2. 과배란 유도제 = 13

    3-3. 채취 난자 수 및 이식 배아 수 = 14

    3-4. 임신 결과 = 15

    Ⅳ. 고찰 = 17

    Ⅴ. 결론 = 28

    Ⅵ. 참고문헌 = 31

    [부록] = 45

    [부록 1] 2007년도 불임부부 지원사업 안내 = 45

    [부록 2] 설문 조사표 : 불임부부 지원 사업 수혜 불임 여성 및 대조군 설문조사표 = 65

    국문요지 = 74

    감사의 글 = 7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8 5 과학 기술 사회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 김형회 외 2008  45
    87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2017  45
    8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2017  45
    85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84 9 보건의료 개원가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최주현 2018  44
    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82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2014  44
    81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2003  44
    80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2010  44
    79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
    78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3
    7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7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7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74 9 보건의료 학계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장성인 2018  42
    73 9 보건의료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법적 통제/조승현 2016  42
    72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71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42
    70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지정 토론문 / 박미정 2018  41
    69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