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Vol.28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16959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Ordre public or Morality as Limi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ased on Human Biological Materials



초록 ( Abstract )

  • 암세포와 같이 인간에게 백해무익한 인체유래물도 인체로부터 유래한다는 점에서 물건으로서의 재산적인 요소뿐 아니라 인격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 이 점에서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
  • 암세포와 같이 인간에게 백해무익한 인체유래물도 인체로부터 유래한다는 점에서 물건으로서의 재산적인 요소뿐 아니라 인격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 이 점에서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적 보호는 다른 재산권과 달리 보다 강한 규율이 요청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특허법 제32조 공서양속(ordre public and morality) 규정이다. 그런데 인체유래물의 다양성과 공서양속 기준의 모호성을 감안하면,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에 대하여 공서양속 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에 대한 일관되고 정합적인 체계를 제시하는 것은 그리 간단치 않다. 우선 인체유래물의 경우에는 재물로서의 가치, 재물성과 인격성의 비율, 인격성의 중요도, 유전적 정보의 포함 여부와 그 정도, 이차적 이용의 창의성 등에 따라서도 다양한 모습을 띠게 된다. 또한, 공서양속 기준 그 자체가 도덕 관련적인 개념으로서 그 사회의 지배적인 도덕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밖에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인체유래물을 이용한 생명공학적 발명에 대한 공서양속의 위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들을 추출하여 정리해 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지식재산권의 기초가 된 인체유래물이 인격성 내지 인체와의 관련성이 높을수록, 또, 개인고유의 유전자정보를 비롯한 인격성의 비중이 높을수록 공서양속 기준이 엄격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시료제공자의 자율적 의사결정의 강도가 높을수록, 또, 특허보호에 대한 사회적 필요 내지 공감대가 넓을수록 공서양속의 기준이 완화되고 특허법적 보호가 강화된다. 인체유래물에 대한 생명공학적 연구가 폭넓게 허용되어야 하듯이, 그 연구결과에 대한 지식재산권의 보호 또한 강화되어야 한다. 다만, 지식재산권으로 보호된 발명은 인류의 복지를 위해 공유되어야 하며, 지식재산권자만이 넘쳐나고 기술발전은 더 이상 진보되지 않는 '그리드락(gridlock) 현상'을 막기 위해서 현실과 규범의 간극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이를 메우려는 실천적인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요지》

    Ⅰ. 들어가며

    Ⅱ.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보호

    Ⅲ.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이른바 공서양속 기준

    Ⅳ. 공서양속 기준의 단계별 적용

    Ⅴ. 맺으며 : 지식재산권과 공서양속의 긴장과 조화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08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1007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100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유진 2019  426
    1005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26
    100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1003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1002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1001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100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7
    999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8
    9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8
    997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28
    996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9
    995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994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1
    993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99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2
    990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
    989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