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집 Vol.18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54480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대한 제언  :  국내외 인증기준 상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실질적 방안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under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 Focusing on the substantial measures considering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program



초록 ( Abstract )

  • 전부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인해 대학도 인간대상 연구자와 인체유래물연구자가 속한 기관으로서 생명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하는 법적인 의무를 갖게 되...
  • 전부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인해 대학도 인간대상 연구자와 인체유래물연구자가 속한 기관으로서 생명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하는 법적인 의무를 갖게 되었다. 이미 자율적으로 생명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해온 대학들의 경우에는 심의 대상 연구 범주를 인간대상연구 및 인체유래물연구 전반으로까지 확대하여야 하므로 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학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들은 생명윤리위원회의 설치를 준비하는 단계이거나 설치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초기 단계에 있다. 그런데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상에는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있어 반드시 준수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기준만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생명윤리위원회는 자율적 규제를 위해 존재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그 실질적인 구성․운영에 있어서도 자율성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법적인 기준을 따르되 실질적으로는 기관의 상황이나 기관 내에서 수행되는 연구의 규모와 특성 등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생명윤리위원회가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기관 내 인프라로서 그 역할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 는 스스로가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준수하여야 하는 기준이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까지도 마련되어 있어 실무적 차원에서도 원활하게 관련 업무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 위원회 구성․운영과 관련한 규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국내인증 시범사업 뿐만 아니라 AAHRPP과 FERCAP 등 관련 국제인증 프로그램 상의 기준이나 관련 정보를 참조로 하여, 연구 관련 국내법의 최근 변화와 위원회 구성․운영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사항에 따라 대학들이 어떠한 실질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위원회를 구성․운영하는 것이 적절할 것인지, 특히 앞으로 위원회가 조직구성 및 운영, 그리고 위원 구성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 Index )

    요약

    Ⅰ. 서론

    Ⅱ. 생명윤리위원회 조직구성 및 운영 관련 법적 기준 및 국내외 인증기준을 고려한 제언

    1. 독립성 담보 가능한 조직으로의 설치 및 운영

    2. 기관 내 위원회의 통합 운영

    3. 패널제, 대체위원제, 예비위원제 등을 통한 위원회의 효율적 운영 도모

    Ⅲ. 생명윤리위원회 위원 구성 관련 법적 기준 및 국내외 인증기준을 고려한 제언

    1. 심의 대상 연구의 규모 및 특성을 고려한 위원 구성

    2. 법적 필수 조건을 고려한 위원 구성

    3. 부위원장 및 전문간사 임명을 통한 업무 분담

    Ⅳ.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8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7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45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44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77
    43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4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이상반응의 IRB 보고 체계와 심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이도윤 2012  205
    41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40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3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8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7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2016  248
    36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51
    35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34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33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32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31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2
    3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