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Vol.13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26853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Challenges on Institutional Review System and Responses from Developed Countries




초록 ( Abstract )

  • 그간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IRB 심의 체계가 과도해진 업무량을 감당할 수 없으리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IRB 심의 체계는 제한된 전문가 자원, 부적절한 초기 및 지속 ...
  • 그간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IRB 심의 체계가 과도해진 업무량을 감당할 수 없으리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IRB 심의 체계는 제한된 전문가 자원, 부적절한 초기 및 지속 심사, 반복적, 무의미한 업무 과중, 이해 갈등, 질적 개선 노력의 부재 등으로 비판받아 왔다. 더군다나, 연구 윤리 심의 체계는 현재 의학 연구의 확장 및 표준화 요구에 발맞추어 심의 체계 또한 표준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인체유래물질 연구나 유전자 연구 등 비전통적 연구활동 또한 적절히 포함시키도록 요구받고 있다. 각국은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윤리심의 체계를 도입,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인가 시스템과 중앙 IRB 체계를 도입했으며 지방단위 심의 시스템 도입에 관하여 논쟁 중이다. 영국, 유럽 및 뉴질랜드에서는 그간 지방 단위, 다기관 윤리 심의체계가 정착되었으며 새로이 중앙연구윤리기구를 설치, 연구윤리심의활동을 조율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개혁은 대체로 기관심의위원회나 지역심의위원회의 특정 부분을 중앙화하며 심의위원회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행 IRB 심의 체계를 개혁하려는 선진 각국의 노력을 고찰한다. IRB 심의 체계의 중앙화는 윤리성 심의 활동의 효율을 높인다는 점에서 환영받으나, 또다른 관료제나 중앙 업무의 과중의 우려를 낳고 있다. IRB 심의 체계 개혁의 결과는 아직 불분명하나, 여전히 이들 노력이 현행 심의 체계의 위기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 중이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 개선의 필요성

    Ⅲ. 현재 기관별 심의위원회 시스템이 연구 윤리 증진에 도움이 될까?

    Ⅳ. 현재의 IRB 체계의 대안으로 제안되는 방안

    Ⅴ. 각국의 추진 방향에 대한 고찰

    Ⅵ.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213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소아의 권리보호방안 모색 / 김진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1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210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09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05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2

    16 환경 기후변화와 키메라현상에 대한 계층 간의 관계인식 / 백정애

    발행년 2011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9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발행년 2007 

    • 조회 수 179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발행년 2011 

    • 조회 수 168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발행년 2006 

    • 조회 수 161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5

    18 인체실험 책임에 근거한 임상연구자 윤리 / 이경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7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발행년 2002 

    • 조회 수 146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7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6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