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Vol.13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26853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Challenges on Institutional Review System and Responses from Developed Countries




초록 ( Abstract )

  • 그간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IRB 심의 체계가 과도해진 업무량을 감당할 수 없으리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IRB 심의 체계는 제한된 전문가 자원, 부적절한 초기 및 지속 ...
  • 그간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IRB 심의 체계가 과도해진 업무량을 감당할 수 없으리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IRB 심의 체계는 제한된 전문가 자원, 부적절한 초기 및 지속 심사, 반복적, 무의미한 업무 과중, 이해 갈등, 질적 개선 노력의 부재 등으로 비판받아 왔다. 더군다나, 연구 윤리 심의 체계는 현재 의학 연구의 확장 및 표준화 요구에 발맞추어 심의 체계 또한 표준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인체유래물질 연구나 유전자 연구 등 비전통적 연구활동 또한 적절히 포함시키도록 요구받고 있다. 각국은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윤리심의 체계를 도입,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인가 시스템과 중앙 IRB 체계를 도입했으며 지방단위 심의 시스템 도입에 관하여 논쟁 중이다. 영국, 유럽 및 뉴질랜드에서는 그간 지방 단위, 다기관 윤리 심의체계가 정착되었으며 새로이 중앙연구윤리기구를 설치, 연구윤리심의활동을 조율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개혁은 대체로 기관심의위원회나 지역심의위원회의 특정 부분을 중앙화하며 심의위원회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행 IRB 심의 체계를 개혁하려는 선진 각국의 노력을 고찰한다. IRB 심의 체계의 중앙화는 윤리성 심의 활동의 효율을 높인다는 점에서 환영받으나, 또다른 관료제나 중앙 업무의 과중의 우려를 낳고 있다. IRB 심의 체계 개혁의 결과는 아직 불분명하나, 여전히 이들 노력이 현행 심의 체계의 위기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 중이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 개선의 필요성

    Ⅲ. 현재 기관별 심의위원회 시스템이 연구 윤리 증진에 도움이 될까?

    Ⅳ. 현재의 IRB 체계의 대안으로 제안되는 방안

    Ⅴ. 각국의 추진 방향에 대한 고찰

    Ⅵ.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발행년 2003 

    • 조회 수 401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발행년 2015 

    • 조회 수 401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40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발행년 2013 

    • 조회 수 401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발행년 2012 

    • 조회 수 401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09 

    • 조회 수 40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발행년 2017 

    • 조회 수 40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발행년 2017 

    • 조회 수 40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발행년 2016 

    • 조회 수 40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발행년 2004 

    • 조회 수 400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발행년 2013 

    • 조회 수 4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발행년 2012 

    • 조회 수 400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399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99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발행년 2001 

    • 조회 수 399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9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발행년 2007 

    • 조회 수 397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7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