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Vol.29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98911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Leftover’ Embryos and Ova for Research: Contested Meanings of Waste, Body and National Development



초록 ( Abstract )

  • 이 연구에서는 불임클리닉에서 생산되는 ‘잔여’ 배아와 난자를 생명공학 연구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폐기물’과 신체, 국가 발전 등의 개념이 재구성되는 방식에 ...
  • 이 연구에서는 불임클리닉에서 생산되는 ‘잔여’ 배아와 난자를 생명공학 연구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폐기물’과 신체, 국가 발전 등의 개념이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황우석 사건 이후 생명윤리법이 개정되고 배아 줄기세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지만, 황우석 사건에 연관된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고지된 동의’와 절차적 정의의 문제로 너무 쉽게 환원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아이를 위해 만들고 남은 것이라는 ‘잔여’라는 개념은 난자와 배아의 사용을 정당화해왔다. 그러나 ‘잔여’ 배아와 난자는 자명한 것이 아닌 논쟁적인 대상물로, ‘생명’과 ‘폐기물’의 의미, ‘경제적’, ‘윤리적’인 것의 의미, 국가발전에 대한 기대 등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단지 과배란 호르몬의 도입이라는 기술적 요인 뿐 아니라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요인들이 많은 양의 난자와 배아를 보관하고 연구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맥락이다. 이 연구는 불임클리닉의 연구자 및 생명윤리학자, 배아 및 난자 기증 여성 등과의 면접 및 관련 문헌의 분석을 통해 ‘잔여’ 배아와 난자의 의미가 여러 이해관계 속에 위치하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들과 연동함을 보였다. 황우석 사건 이후 여전히 ‘국가 발전’을 위해 규제를 풀어야한다는 인식, 효율성과 빠른 연구결과 생산이 중요시되는 연구 환경, 환자-의사의 권력관계의 문제들이 남아 있었다. 지배적 관점의 변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제도적 규제를 넘어, 경제와 효율성의 언어로 과학기술과 신체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이 중요하다.



    목차 ( Index )

    Ⅰ. 들어가며

    Ⅱ. 생명과학기술과 경계의 구성

    Ⅲ. 한국에서 불임클리닉의 성장

     Ⅳ. 경합하는 ‘잔여’ 난자와 배아에 대한 인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213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소아의 권리보호방안 모색 / 김진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1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210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09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05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2

    16 환경 기후변화와 키메라현상에 대한 계층 간의 관계인식 / 백정애

    발행년 2011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9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발행년 2007 

    • 조회 수 179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발행년 2011 

    • 조회 수 168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발행년 2006 

    • 조회 수 161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5

    18 인체실험 책임에 근거한 임상연구자 윤리 / 이경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7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발행년 2002 

    • 조회 수 146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7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6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