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Vol.4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31100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Legal Issues on the Justification Human Embryo Cloning




초록 ( Abstract )

  • 최근 국내와 외국의 연구진에 의해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기술은 2004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과학저널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하면서 세계 최초...
  • 최근 국내와 외국의 연구진에 의해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기술은 2004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과학저널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하면서 세계 최초로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후 조작으로 드러났고 국내에서는 성공한 사례가 없었다. 이 연구는 성인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체세포 복제 인간배아줄기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함으로써 난치병 환자의 피부세포(체세포)에서 줄기세포를 만들어 맞춤형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줘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이 예상하지 못할 만큼 놀라운 발전을 가져왔으며 사회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외국의 생명윤리법에 관한 입법동향을 주시하면서, 우리 나름의 사회적 합의를 통한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 왔다. 우리나라는 생명윤리법을 제정하여 시행한지 10여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인간복제와 이종간의 착상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줄기세포를 취득하는 한 방법으로써 배아를 이용한 연구에 대하여는 허용을 하고 있으나 배아의 생성에 대하여는 견해가 갈리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인간배아복제의 연구를 허용할 것인가 아니면 전면적으로 금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법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현행법의 체계 내에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법적 규제는 헌법상 보장된 연구(학문)의 자유의 제한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헌법에 의하여 국가에게 부과된 생명보호의무의 이행위반이다. 이처럼 인간배아복제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회적 합의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논쟁은 서로의 입장차이만 확인한 채 평행선을 달려온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은 헌법과 생명윤리법에서 명시된 인간배아의 법적 지위를 바탕으로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를 둘러싼 쟁점을 분석한 다음, 이에 따른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생명윤리를 확립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인간배아복제의 의의와 법적 지위

    Ⅲ.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 여부의 논쟁

    Ⅳ.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발행년 2016 

    • 조회 수 65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발행년 2000 

    • 조회 수 65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649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648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발행년 2016 

    • 조회 수 648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발행년 2000 

    • 조회 수 646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645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644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644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42

    2 생명윤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김현섭

    발행년 2017 

    • 조회 수 641

    1 윤리학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와 도덕적 존중의 의미 - 피터 싱어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김광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장한철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9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9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8

    22 동물복지 유전자변형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의 동향/김훈기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8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발행년 2018 

    • 조회 수 637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발행년 2007 

    • 조회 수 637

    10 성/젠더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 강예원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