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4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9071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A Desirable Approach on Death through the Controversy on the Advanced Medical Directives




초록 ( Abstract )

  • 생명윤리는 인간의 삶의 시작에서부터 끝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지는 모든 현상들을 그 내용으로 한다. 특히 죽음은 누구나 겪어야 하는, 생명현상에 있어서 하나의 과정 이지만 어느 누구도 ...
  • 생명윤리는 인간의 삶의 시작에서부터 끝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지는 모든 현상들을 그 내용으로 한다. 특히 죽음은 누구나 겪어야 하는, 생명현상에 있어서 하나의 과정 이지만 어느 누구도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다. 단지 내 주변의 가족이나 친지들의 죽음사건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경험할 뿐이다. 그래서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하면서 일상 안에서 죽음에 대하여 생각하기를 꺼려한다. 그러나 또한 역설적으로 죽음을 알아야만, 한 인간의 삶의 방향이 올바로 설 수 있다. 죽음은 곧 삶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사회에서 이 죽음의 문제에 대한 많은 사건들과 논의가 있다. 존엄사로 불리는 안락사, 사전의료의향서, 연명의료중단, 호스피스 완화의료 등과 같은 죽음에 직면한 사안들에 대한 문제부터 도시 내의 납골당 설치문제, 화장장 시설, 묘지시설, 심지어는 사이버 세계 안에서의 사망자 처리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1997년 '보라매병원사건'과 2009년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사건'을 통하여 죽음에 임박한 환자들에 대한 의사결정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사전의료의 향서' 도입을 포함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임종기 환자들에 대한 의료적 입장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사전의료의향서'의 타당성과 연명의료중단에 대하여 알아본다. 더 나아가 우리사회가 생명에 대한 올바른 가치정립을 통해서 생명존중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고자,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모색한다. 죽음의 문제에 있어서 논란이 야기되는 측면은, 임종기 환자 또는 중증환자들에게 행해지는 의료행위이다. 이 문제에 대하여, 생명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일련의 의료행위에 수반되는 인적, 물적 자원에 의해 과도한 치료를 행함으로서, 환자본인과 의료진 그리고 환자의 가족들 간의 입장이 상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임종기 환자에 대한 의학적, 윤리적, 사회적, 법적 상황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이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하여 살펴보고, 법제화의 움직임에 대하여도 진단해 보고자 한다.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판단을 통해서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동시에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살펴봄으로써 생명존중의식에 입각한 바람직한 죽음에 대한 인식의 토대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목차 ( Index )

    1. 서론

    2. 인간의 죽음에 대한 정의와 의미

    3. 임종기 환자의 의료적 상황들

    4. 사전의료의향서

    5.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6.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1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4
    14 20 죽음과 죽어감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김장한 2016  613
    1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50
    12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34
    1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43
    9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8
    8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8
    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7
    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81
    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6
    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6
    3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5
    2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98
    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