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4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9071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A Desirable Approach on Death through the Controversy on the Advanced Medical Directives




초록 ( Abstract )

  • 생명윤리는 인간의 삶의 시작에서부터 끝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지는 모든 현상들을 그 내용으로 한다. 특히 죽음은 누구나 겪어야 하는, 생명현상에 있어서 하나의 과정 이지만 어느 누구도 ...
  • 생명윤리는 인간의 삶의 시작에서부터 끝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지는 모든 현상들을 그 내용으로 한다. 특히 죽음은 누구나 겪어야 하는, 생명현상에 있어서 하나의 과정 이지만 어느 누구도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다. 단지 내 주변의 가족이나 친지들의 죽음사건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경험할 뿐이다. 그래서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하면서 일상 안에서 죽음에 대하여 생각하기를 꺼려한다. 그러나 또한 역설적으로 죽음을 알아야만, 한 인간의 삶의 방향이 올바로 설 수 있다. 죽음은 곧 삶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사회에서 이 죽음의 문제에 대한 많은 사건들과 논의가 있다. 존엄사로 불리는 안락사, 사전의료의향서, 연명의료중단, 호스피스 완화의료 등과 같은 죽음에 직면한 사안들에 대한 문제부터 도시 내의 납골당 설치문제, 화장장 시설, 묘지시설, 심지어는 사이버 세계 안에서의 사망자 처리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1997년 '보라매병원사건'과 2009년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사건'을 통하여 죽음에 임박한 환자들에 대한 의사결정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사전의료의 향서' 도입을 포함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임종기 환자들에 대한 의료적 입장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사전의료의향서'의 타당성과 연명의료중단에 대하여 알아본다. 더 나아가 우리사회가 생명에 대한 올바른 가치정립을 통해서 생명존중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고자,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모색한다. 죽음의 문제에 있어서 논란이 야기되는 측면은, 임종기 환자 또는 중증환자들에게 행해지는 의료행위이다. 이 문제에 대하여, 생명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일련의 의료행위에 수반되는 인적, 물적 자원에 의해 과도한 치료를 행함으로서, 환자본인과 의료진 그리고 환자의 가족들 간의 입장이 상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임종기 환자에 대한 의학적, 윤리적, 사회적, 법적 상황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이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하여 살펴보고, 법제화의 움직임에 대하여도 진단해 보고자 한다.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판단을 통해서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동시에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살펴봄으로써 생명존중의식에 입각한 바람직한 죽음에 대한 인식의 토대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목차 ( Index )

    1. 서론

    2. 인간의 죽음에 대한 정의와 의미

    3. 임종기 환자의 의료적 상황들

    4. 사전의료의향서

    5.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6.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101
    157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2
    156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806
    »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15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4
    1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2
    1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50
    151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15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20
    149 20 죽음과 죽어감 자기의사결정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 정혜영 2014  469
    14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14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146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8
    145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5
    144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143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2
    142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14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14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
    139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