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인문의학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40253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Good Death Concept and Death Education in Doctors in Korea


  • 저자 : 유상호
  • 형태사항 : vi, 114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옥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인문의학 2014. 2
  • DDC : 61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죽음, 좋은 죽음, 죽음 교육, 의사


초록 ( Abstract )

  • 서론: 죽음에 대한 연구에서 의료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그리고 의료계가 관심을 가지는 죽음 문제는 연명치료중단, 무의미한 치료,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등과 같이 ...
  • 서론: 죽음에 대한 연구에서 의료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그리고 의료계가 관심을 가지는 죽음 문제는 연명치료중단, 무의미한 치료,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등과 같이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절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료계에 의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죽음에 대한 해명 노력은 전체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의사가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도 부족한 실정이며, 의료에서의 좋은 또는 바람직한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명 또는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라는 규범적인 접근(normative approach)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가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좋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경험적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둘째, 경험적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념을 중심으로 형성한 이론을 바탕으로 규범적으로 바람직하고(desirable), 좋은(good) 죽음에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1) 죽음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서는 초보의사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개념에 대해서는 유경험 의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와 2)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3) 죽음 관련 사실, 문헌, 이론 등에 기초한 개념 분석을 그 방법론으로 선택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좋은 또는 바람직한 죽음에 대한 이론을 구성하였으며, 이 이론에 대해 좋은 죽음과 관련된 기존 사실, 문헌,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결과: 초보의사들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현재 의사들이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죽음에 대한 경험은 개인적인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 구분되었으며,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 및 죽음 교육의 필요성도 확인되었다. 죽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두려움과 허망함 및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인식이 확인되었으며,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는 죄책감, 권위의 실추에 대한 두려움, 책무로부터의 해방 및 가족과 보호자를 대함에 있어서 두려움과 미숙함이라는 인식이 확인되었다.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은 생사를 규정하고 남은 가족과 보호자를 소극적으로 위로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부정적인 경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유경험 의사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현재 의사들이 좋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좋은 죽음은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념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 그리고 환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 구성되었다.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죽음의 받아들임’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죽음을 준비’하고 ‘삶을 여한 없이 마무리’ 지을 수 있다고 개념화되었다. ‘신체적 편안함’과 ‘자신에 대한 조절능력의 유지’ 및 ‘존엄성 유지’도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과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함’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환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과 ‘기계적 의료에 의존하지 않음’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 개념적 요소들 중에서도 ‘죽음의 받아들임’과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 및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이 규범적으로 바람직한 좋은 죽음에 대한 이론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초보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죽음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었으며, 좋은 죽음의 개념들이 모두 실현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에서의 바람직하고 좋은 죽음은 개인, 관계, 환경을 중심으로 한 세 가지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개념들을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목차 ( Index )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제 3 절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비교

    제 4 절 본 연구의 중요성

    제 5 절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용어

    제 6 절 연구 목적


    제 2 장 연구 방법

    제 1 절 연구 방법 및 내용


    제 3 장 연구 결과

    제 1 절 죽음에 대한 의사의 경험과 인식

    제 2 절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개념

    제 3 절 죽음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인식


    제 4 장 고찰

    제 1 절 죽음의 받아들임

    제 2 절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

    제 3 절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

    제 4 절 죽음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제 5 장 결론


    제 6 장 참고 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1
    6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7
    64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2
    63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6
    62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61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7
    60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2013  137
    5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2
    58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4
    57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3
    56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4
    55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7
    54 1 윤리학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 송여주 2010  191
    53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96
    5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2014  202
    5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50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2015  209
    49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3
    48 5 과학 기술 사회 이종이식연구자 대상 윤리교육의 시행과 그 효과에 관한 고찰 / 모효정 2010  228
    47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