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21960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ral foundation and measures of advance directive(AD)




초록 ( Abstract )

  •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al Foundations and Measures of Advance Directive(AD) 생명의료윤리학과 문 노 을 지도교수 김 진 경 현대사회에서 인...
  •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복지와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은 인류가 추구하는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과거의 의료가 단순히 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현재의 의료는 더 나아가 인간의 복지와 가치 있는 삶의 추구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이라는 문화가 형성되었고, 이와 같은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연명의료 결정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국제사회에서는 연명의료 결정과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사회문화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제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동양윤리 사상의 영향 및 뿌리 깊은 가족주의와 맞이하는 죽음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 부족으로 인해 사전의료의향서의 도입과 법제화와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를 밝히고 이에 대한 시행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사전의료의향서의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 Index )

    Ⅰ. 서 론 1

    Ⅱ.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과 현황 3

    1. 연명의료 결정과 사전의료의향서의 요청 3

    2. 사전의료의향서의 국내외 현황 8


    Ⅲ.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 15

    1. 환자 자율성에 근거한 사전의료의향서 15

    2. 환자 선의 증진에 근거한 사전의료의향서 27


    Ⅳ. 사전의료의향서의 시행방안 모색 31

    1. 사전의료의향서의 도입의 문제점 31

    2. 사전의료의향서의 시행을 위한 방안 34


    Ⅴ. 결론 41

    참고문헌 43

    Abstract 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0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로봇 미래방향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사업 / 손진호 2016  118
    340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3406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405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8
    340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8
    3403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8
    3402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8
    3401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2018  118
    3400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
    3399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18
    3398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8
    339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3396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3395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9
    3394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3393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3392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3391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9
    339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3389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