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28478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Comparison of a Demand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박상은
  • 형태사항 : ⅶ, 102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숙영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2014. 8
  • 발행국 : 대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암환자, 가족, 연명치료 요구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결정이 환자 본인이 제외된 채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환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결정이 환자 본인이 제외된 채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환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를 파악하고 결정의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추후 말기 환자들을 위한 사전의사결정 정책이나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환자 1명과 그 환자를 돌보는 가족 1명을 1쌍으로 묶어 총 93쌍(18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28일부터 2014년 3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연명치료 중지를 위한 지침과 사전의료의향서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χ²-test, t-test, ANOVA, Scheffe test, Cohen's Kapp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환자들이 가장 많이 원하는 연명치료는 통증 조절로 응답 대상자의 90.3%가 원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은 코를 통한 산소공급 65.6%,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65.6%, 수혈 61.3%, 항암치료 42.7%, 강심제와 승압제 사용 40.9%, 위나 장을 통한 영양공급 36.6%,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36.6%, 혈액투석 30.1%, 제세동기 사용 21.5%, 심장마사지 17.2%, 장기이식 12.9%이었다.
    가족이 원하는 연명치료는 통증 조절 93.5%,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88.2%, 코를 통한 산소공급 86.0%, 수혈 86.0%, 제세동기 사용 73.1%, 위나 장을 통한 영양공급 66.7%,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65.6%, 항암치료 57.0%, 혈액투석 53.8%, 심장마사지 40.9%, 강심제와 승압제 사용 37.6%, 장기이식 19.4%로 가족들이 연명치료를 원하는 비율은 전 항목에서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명치료를 원하던 원하지 않던 암환자와 가족의 결정이 일치하는 비율은 통증 조절 86.0%, 수혈 69.9%,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67.8%, 코를 통한 산소공급 66.7%, 항암치료 59.1%, 강심제와 승압제의 사용 49.5%, 기도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46.3%, 장기이식 44.1%, 위나 장을 통한 영양 공급 41.9%, 혈액투석 41.9%, 심장마사지 34.4%, 제세동기 사용 32.8%, 순이었다.
    암환자의 연명치료 요구는 종교, 병원비 지불에 대한 부담, 암 진단 병기와 시기,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는 가구 소득과 환자의 암 진단 시기,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의 일치도는 낮게 나타났다.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이 있는 경우가 의논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환자와 가족은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논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환자와 가족에게 의료진의 개입을 통해 환자의 질병 상태와 연명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환자의 질병 상태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 의료진간의 충분한 의논을 통해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요지 = ⅰ

    목차 = ⅴ

    표목차 = ⅶ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5

    3. 용어 정의 = 6

    Ⅱ. 문헌 고찰 = 7

    1. 연명치료 = 7

    2. 연명치료 현황과 문제점 = 10

    Ⅲ. 연구 방법 = 15

    1. 연구 설계 = 15

    2. 연구 대상 = 15

    3. 연구 도구 = 17

    4. 자료 수집 방법 = 20

    5. 윤리적 고려 = 21

    6. 자료 분석방법 = 22

    Ⅳ. 연구 결과 = 23

    1. 일반적 특성 = 23

    2. 연명치료와 관련된 특성 = 27

    3. 연명치료 요구 = 31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요구의 차이 = 36

    5. 연명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요구의 차이 = 42

    6.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의 일치도 = 45

    Ⅴ. 논의 = 55

    Ⅵ.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70

    ABSTRACTS = 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88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187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치료 결정에 있어서 그리스도교 바탕의 온정적 간섭주의 의사 환자 관계 / 오승민 2012  53
    18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2011  53
    18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2015  53
    18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
    183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2017  53
    182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2017  53
    181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2010  53
    180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179 9 보건의료 새로운 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15  53
    178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177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2014  53
    176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175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2016  52
    17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2013  52
    173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17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2017  52
    171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2
    170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2018  52
    169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2018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