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73645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Family Function of Older Cancer Patients




초록 ( Abstract )

  • 국내에서 노인암환자가 증가하고 연명치료 중단 및 자기결정권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관련된 법안, 정책, 제도가 논의되고 있다. 앞으로 도입될 제도는 서구의 철학이 담긴 사전의사결...
  • 국내에서 노인암환자가 증가하고 연명치료 중단 및 자기결정권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관련된 법안, 정책, 제도가 논의되고 있다. 앞으로 도입될 제도는 서구의 철학이 담긴 사전의사결정 제도가 아닌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제도이어야 한다. 노인암환자는 앞으로 사전의사결정제도가 도입되면 가장 적용가능성이 높은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앞으로 정착될 사전의사결정 제도가 고려해야 할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대학교병원 연구대상자 보호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외래를 내원하거나 입원치료를 받는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 130명을 편의 표출하여 2013년 10월 1일부터 12월 5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Nolan과 Bruder(1997)가 만든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ADAS)를 동일 저자가 2003년 수정 및 보완한 것을 이혜림(2012)이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도구개발자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 0.74, 본 연구에서는 0.79이었다.
    수집한 데이터는 평균과 표준편차, 비율 등의 기술통계로 산출하고, 유의한 차이는 t-test, one way ANOVA를 통해 검증하였다. ANOVA를 통해서 p- value < 0.05로 유의하게 나타난 결과는 Scheffe’s test, Dunnett T3 test로 사후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간의 상관관계 및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Pearson’s correlation과 stepwise linear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의사결정에 대해서 들어본 대상자는 33.1%였으며, 이 중 의료진을 통해서 접한 경우는 9%에 불가하였다. 사전의사결정의 의사가 있다고 밝힌 경우는 93.1%로 매우 높았다.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는 평균 48.3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건강할 때 사전의사결정 하는 것을 선호하고 사전의사결정이 가족의 돌봄 부담감을 덜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믿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특성 중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학력, 지각하는 건강상태와 치료비 지불 형태이었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가족기능, 지각하는 건강상태, 교육기간, 나이, 배우자 유무의 5개 변수에 의한 회귀모형이 설명력 54.2%로 유의하였다.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기능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인암환자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며, 의료진을 통해 사전의사결정을 접한 경우가 매우 적었다. 그러므로 노인암환자에게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이 필요하며, 의료진에 의한 논의가 활성화되어 반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또한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가족기능과 배우자유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서 가족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여 대상자가 가족과의 상의를 원하면 가족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형태를 지지해야 하며, 가족이 참여한 논의 과정에서 간호사는 가족기능을 사정하고, 가족 역동, 역할 등을 고려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i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용어 정의 6

    II. 문헌고찰 8

    1.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 요구도 8

    2.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13

    3.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16

    III. 연구방법 19

    1. 연구설계 19

    2. 연구대상 19

    3. 연구도구 21

    4. 자료수집방법 23

    5. 자료분석방법 24

    IV. 연구결과 25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5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7

    3.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과 관련된 특성 29

    4.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31

    5.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 34

    6.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의 항목별 차이 38

    7.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요인간의 상관관계 40

    8.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V. 논의 45

    1. 노인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 45

    2. 노인암환자의 특성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 49

    3. 노인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4. 연구의 제한점 60

    Ⅵ.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6

    부록 81

    Abstract 9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6
    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대한 연구 : 한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 김보배 2009  207
    2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2
    22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0
    21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2007  235
    20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19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3
    1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17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1
    16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15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14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8
    1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12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3
    10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7
    9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7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9
    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