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 Vol.9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68237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Article : DNA Database and Privacy




초록 ( Abstract )

  • 디엔에이법은 입법목적상 도달할 수 없는 안전개념을 도입하여 범죄예방과 이를 통한 권익보호를 내세우고 있다.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만큼이나 기본권불감증은 안전이라는 도달할 수 ...
  • 디엔에이법은 입법목적상 도달할 수 없는 안전개념을 도입하여 범죄예방과 이를 통한 권익보호를 내세우고 있다.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만큼이나 기본권불감증은 안전이라는 도달할 수 없는 이상만큼이나 팽배해 있는 듯하다. 그나마 효율적 범죄수사라는 목적은 동법의 입법목적을 직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 범죄수사라는 형사정책적 관점은 언제나 국가공권력의 발동이 기본권에 대한 최소침해, 즉 비례성의 원칙에 부합하여야 한다는 근본이념을 벗어날 수 없다. 헌법상의 기본권은 무제한적인 권리가 아니기 때문에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는 법률에 의한 제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본권 침해 또는 제약은 동법의 입법목적에 비추어 보아 동법이 헌법의 보호영역 내에 존재하는가 여부 및 비례성의 원칙에 위반되지 아니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즉 동법상의 입법목적에 비추어 보아 개인의 기본권제한이 개인에게 수인의무로 부과됨이 타당하다면, 이를 기본권침해적 입법으로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는 형사정책적 의미에서 접근되어야 할 것이며, 효율적 범죄수사라는 목적과 디엔에이 데이터베이스화라는 수단 간에 비례성의 원칙이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엔에이법의 입법목적을 사회안전이라는 개념으로부터 접근하여,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구체적 제약내용과 그 범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인적 범위로는 구속된 피의자, 수형인 및 가족간 검색을, 권리 범위로는 정보제공거부권, 정보열람권, 정보변경권, 정보삭제권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국가에 의한 개인통제를 위한 정보결속력 또는 정보통제력이 강화될수록 개인의 안전은 보장되는가 아니면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의 침해만 가속화되는가의 문제는 보다 성숙한 논의가 필요할 듯하다. 유전정보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인식하지 못하는 개인의 정보이다. 그리고 국가가 이를 보유하고자 하는 취지가 개인의 잠재적 범죄경향성을 광범위하게 수용하고 감시와 통제의 기제를 확장하고자 하는 취지라면, 동법에 의한 프라이버시권 침해구도는 보다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8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9
    47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9
    4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45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5
    4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4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400
    42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3
    4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16
    »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39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20
    3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3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3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31
    35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3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50
    33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3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 김대규 2016  459
    3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3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29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