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제1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62136 
한국어 초록
  지난 40여 년 동안 의료에 대한 사회과학의 지배적 관점은 ‘의료화’ 이론이었는데, 이는 비의학적 현상으로 취급되던 문제(예: 동성애, 알코올중독, 비만 등)를 질병으로 재정의하여 의학적 개입의 영역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전문가의 권력이 확대되는 사회적 과정을 가리켰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이후 의료 분야에서 생물과학과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른 급속한 기술과학적 변화와 이와 연관된 생명경제 등 새로운 사회적 배치의 출현은 최근 ‘생의료화’ 이론이라는 새로운 사회과학적 관점을 대두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 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및 과학기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기본 작업의 하나로서 의료화 이론과 생의료화 이론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또한 이 중에서 어떤 이론이 더 적실성이 있는가를 정신장애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적어도 정신장애의 경우에 의료화는 19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온 것이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는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섯 가지의 핵심적 과정들도 대체로 관찰되며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정신장애에 대한 위험․감시의 기술을 제외하곤) 보인다. 이것은 의료화가 지속적으로 관철은 되어 왔지만, 단지 의료적 영역의 양적 확대가 아니라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질적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화의 개념이 비록 오늘날에도 타당하고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적절하고 충분하게 포착되지 않는 새로운 현상들을 생의료화의 개념이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고 인정할 수 있다.



영어 초록

  Over the last forty years, the dominant perspective of social science on medicine has been the medicalization theory. It indicates the social process of expanding power of medical professionals by (re)defining the problems which were treated as non-medical phenomena(e.g. homosexuality, alcoholism, obesity, etc.) into "diseases" and thus the spheres of medical intervention. Meanwhile, rapid technoscientific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owing to the diffusion of biological sc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since the mid-1980s and the accompanying emergence of new social arrangements such as bioeconomy and biological citizenship have led to the rise of a new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called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two theories and assess their merits and demerits as a basic work to deepen the understandings of sociology and STS on contemporary medicine. And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ir relative relevance through the case of mental disorder. The analysis on the case of mental disorder clearly shows that the medicalization in that area seems to have continuously proceeded since the early 19th centiry to the present. Furthermore, it also seems true that the five central processes of biomedicalization(except for risk surveillance technologies of mental disorder) have been observed and realized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medicalization has consistently proceeded, it has not been limited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dical field but been extended to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sserted by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erefore, while the concept of medicalization is valid and significant even today,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biomedicalization allow us to capture the new phenomena which cannot be properly and sufficiently captured by that of medicalization.



목차

1. 서론
2. 의료화 이론
3. 생의료화 이론
4. 사례: 정신장애의 의료화와 생의료화
5. 평가와 함의: 생의료화 시대의 시민권
참고문헌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과학기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후보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6213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4
38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9
37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9
36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8
35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6
3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114
33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4
32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3
31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2
30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료행위와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11
29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7
2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6
27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5
26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5
25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2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102
23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9
22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7
21 9 보건의료 원격의료시스템에서 심장박동기의 보안 위협 모델링 / 박진우 외 2018  94
20 9 보건의료 의료보험체계에서 이념의 갈등과 조화 : 의료보험에서 경쟁의 억제와 유인/김나경 2009  86
1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