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제와사회 통권 제93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1627863 
한국어 초록
  생명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제기함에 따라 ‘생명 윤리’의 사회적 중요성과 영향력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생명윤리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는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학문분과, 전문지식체계, 그리고 제도화된 실천으로서의 생명윤리 자체를 사회학적으로 탐구하는 ‘생명윤리의 사회학(sociology of bioethics)’ 연구가 축적되고 있으며, 학제 간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 분야에서도 유사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후자는 생명과학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공적으로 논의하는 숙의기구에 의해 정의되고 활용되는 생명윤리, 즉 ‘공공 생명윤리 (public bioethics)’의 장에서 과학, 윤리와 정치의 경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과학과 생명윤리 전문성의 정치동학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의 문제의식을 수용하여 한국에서의 ‘공공 생명윤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2000년 11년에서 2001년 8월까지 과학기술부 산하에 설치되어 (가칭)「생명윤리기본법」의 기본골격을 만들었던 생명윤리자문위원회를 사례로 하여 그 성격과 심의 활동 및 이에 수반되었던 전문성의 정치동학을 살펴볼 것이다.



영어 초록

  As rapid advances in the life sciences and technologies have raised a range of ethical issues, the social importance and influence of ‘bioethics’ are also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However, the issue of bioethics has not been given much attention by sociologists and other social scientists. More recently, the subfield of sociology of bioethics has emerged and begun to approach bioethics as an object of inquiry in itself, exploring it as an academic discipline, expertise, institutionalized practice, and discursive formation.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STS) has also moved in that direction and produced a number of interesting case studies on bioethics. In particular, STS studies of ‘public bioethics’ ― that is, bioethics as defined and employed by deliberative bodies devoted to public ethical inquiry ― have provided interesting analyses of the political dynamics of scientific and bioethical expertise and of how the boundaries of science, ethics, and politics are (re)constructed at various public bioethics bodies. Relying on the insight from these studies, I will examine the Korean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2000.11~2001.8) ― the first public bioethics experiment in South Korea ― and its politics of expertise.



목차

1. 머리말
2.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동학: 사회학적 접근
3. 배경: 의료윤리에서 공공 생명윤리의 요구로
4. ‘생명윤리자문위원회’와 전문성의 정치
5. 나가면서
주요 용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sociology of bioethics, politics of expertise, boundary-work, biotechnology, govern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 Technology Studies(ST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162786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1127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김미옥, 김경숙 2015  396
112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개발 전략 및 임상화 과정 / 조명수 외 2012  396
1125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1124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이은영 2001  396
1123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96
1122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1121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112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7
111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1118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8
11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400
1116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111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111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111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1112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400
111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1110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1109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