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제7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12825 
영어 초록
  Prior to giving consent to the treatment of a physician, a patient has to receive, as prerequisite, the information on what his/her disease and the relevant treatment are. The Physician’s duty to inform his/her patients is the prerequisite for the patient’s consent.
  The medical ethics mainly deals with life and death of humans, while the notion of clinical ethics primarily deals with individual physicians and their professional ethics. Such issues dominate the field of clinical ethics as fraud on patients for medical purposes, patients’ refusal and consent, physician’s assistance in dying, the necessity and value of prior instruction and determination by the attorney-in-fact.
  Medical policies and ethics shall be considered as wee, since individual physicians have to determine their relations with patients within the institutional frame. Further, the ethics matter becomes more prominent when it comes to experiments with clinical trials on humans.
  Aware of the issue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what clinical conditions a clinical trial has to satisfy by reviewing the physician’s obligation to inform the patient from historic and ethical persp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설명의무의 개념과 연혁적 고찰
Ⅲ. 의료적 개입으로서 환자에 대한 설명
Ⅳ. 임상실무에서의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환자의 자기결정권, 의사의 설명의무, 의료윤리, 임상윤리, self determination, informed consent, medical ethics, clinical ethic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후보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128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08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3907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6
»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39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6
390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3903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3902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3901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5
390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3899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3898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3
389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3
3896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3
3895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3894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3893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12
3892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3891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3890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
3889 22 동물복지 윤리적인 동물 실험의 철학적 옹호 가능성 검토 / 목광수 2010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