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5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시아리뷰 제2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097797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1990년대 중·후반 이후 동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나는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주도의 지식경제발전 전략에 대한 유사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경제발전 전략은 국가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과학기술이 사회에서 갖는 위치와 영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국가 주도형 생명과학분야의 발전은 또한 사회적 행위자들의 정체성의 변화를 가져오는 전환점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사례로 한국에서 일어난 두 가지 역사적 사건을 논의할 것이다. 즉, 2005년에 한국과 전 세계에 충격을 준 황우석의 줄기세포 스캔들과 2008년 미국 소고기 수입문제로 인해 촉발된 소위 ‘광우병 논쟁’이다. 이 일련의 사건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의 과학기술발전 전략의 근본적인 특성을 노출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이 과정에서 시민사회는 자발적으로 자신들의 생명권에 대한 집합적인 인식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시민주도의 자발적인 집합적 권리를 요구하는 주체의 형성과정을 ‘바이오시민권’의 개념으로 제시하게 될 것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in the stateinitiated strategies within the development of biosciences in East Asian countr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state-initiated strategies for knowledge economie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mid-1990s. This strategic change in the bioscientific development has provided a turning point that which has allowed us to detect the significance of the rol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play in East Asian societies. Furthermore, this new strategic turn ha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identities of the Korean citizens as “social actors.” This study looks into two historical incidents that which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Korean citizens’ identities: the stem-cell scandal involving Professor Hwang Woosuk, and the mad-cow controversy. The two incidents reveal the nature of the state-initiated strategy in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In other words, Korean citizens have come to foster a new form of collective identity based on their rights to lif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biocitizenship’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ubject formation in mass, in which the subject is able to demand his/her rights i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 주도형 생명과학
Ⅲ. 과학기술이라는 판도라 상자: 황우석의 줄기세포 스캔들과 광우병 논쟁
Ⅳ. 새로운 바이오시민권의 출현 가능성
Ⅴ.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생명과학, 구역공간 관리기술, 바이오시민권, 광우병, 줄기세포, biosciences, zoning technology, biocitizenship, mad-cow disease, stem cell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09779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45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2014  808
44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70
43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5
42 18 인체실험 Improved Transfection Efficiency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Using Non-Enzymatic Method / 황인규 2016  222
41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40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39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38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2013  3952
37 18 인체실험 Gamete Donor Consent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015  217
36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35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5
3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3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31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30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2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2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27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26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