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Vol.5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62765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The Protection of life in Criminal Law



초록 ( Abstract )

  • 본고에서는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와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 중 태아에 대한 형법적 보호, ‘죽음의 개념’과 장기이식, 안락사와 존엄사,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연명의료의 환자결정...
  • 본고에서는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와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 중 태아에 대한 형법적 보호, ‘죽음의 개념’과 장기이식, 안락사와 존엄사,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것의 당부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현행법이 기한과 관계없이 임신 후 모든 낙태행위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지금의 입법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것은 사회통제(Sozialkontrolle)의 일부로서의 형법은 그 제정 및 운용에 있어 법공동체에서 승인된 기본적인 가치표상에 의존함을 전제할 때 더욱 그러하다. 여기에서 태아의 생명보호와 함께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현행보다 낙태의 허용범위를 넓히는 입법방식이 타당하다.
    둘째 ‘죽음의 개념’의 문제에 있어서는 뇌사자의 장기이식실시는 죽음의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뇌사를 심장사와 함께 보편적인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국민의 의식변화 등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문제로서 우리의 경우에 있어 아직도 이러한 합의에 도달하였다고 인정될 수 없으며 국민일반의 보편적 죽음의 개념에 반한다고 하겠다.
    셋째 말기의료에 있어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근거한 안락사와 존엄사의 제도화문제 있어서는, ① 적극적 안락사는 환자의 생명을 고의적으로 끊는 행위이며, 이는 비윤리적임은 물론 불법행위이다. 이것은 자기결정능력이 있는 환자에게 가능한 치료와 성공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최선을 다해 전한 다음 모든 치료의 시작과 끝은 환자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학적 처지의 거절권과는 또 다른 문제영역이다. ②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제도화’는 입법이 가지는 장점 이상으로 그것의 가장 큰 단점은 남용의 위험성으로 의학적 타당성과 적절성을 기본으로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그것은 입법이 직접 의료현장에서 직면하게 될 모든 상황을 제도화하는 것은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Ⅰ. 서설

    Ⅱ. 태아에 대한 형법적 보호

    Ⅲ. 형법에 있어서 죽음의 개념

    Ⅳ. 안락사와 존엄사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28 19 장기 조직 이식 법률상의 장기분배기준 등의 정의론적 분석 :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소윤 2002  294
    2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2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9
    2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2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91
    2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48
    2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2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2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7
    19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0
    1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17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1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89
    14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에 대한 관리 및 법제도 현황 / 조준현 2015  168
    1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12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5
    11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1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