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38686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The Complementarity between Bioethics and Constitutional Law : Focusing on Beauchamp and Childress’s Wide Reflective Equilibrium and “Human Being” in Korean Constitutional Law




초록 ( Abstract )

  • 본 논문은 다양한 가치 체계로 구성된 다원주의 사회에서 생명의료윤리와 헌법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는 다양한 가치 체계 속에 내재한 요소들을...
  • 본 논문은 다양한 가치 체계로 구성된 다원주의 사회에서 생명의료윤리와 헌법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는 다양한 가치 체계 속에 내재한 요소들을 잠정적으로 균형 상태를 결정하고 그 결정을 정당화 하는 톰 뷰챔프와 제임스 칠드러스(Tom L. Beauchamp/ James F.Childress. 이하 BC)의 반성적 평형을 공통 도덕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분석한다. 그 분석의 결과 본 논문은 BC가 제시하는 정당화 방법인 반성적 평형의 의미를 믿음들 간의 갈등이 내재적 개연성(intrinsic probability)으로 정당화되면, 이런 내재적 논의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공통도덕(common morality)을 외재적(extrinsic) 권위로 도입하고 있다고 해석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분석할 때 본 논문은 외재적 권위로써 공통 도덕이 토대론의 기초적 신념처럼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도덕을 정당화할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정당화의 부담을 들어주기 위해서는 다가치 체계속에서 외재적 권위처럼 사용될 수 있으면서 사회 구성들이 합의할 수 있는 지점으로써 우리나라 헌법 10조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 개념을 제시한다. 이 “인간”은 자율적인 인격으로 외재적 권위의 도입 없이 내재적 배열을 통해서 BC의 도덕적 추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명윤리학과 헌법이 상보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점이 될 수 있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다원주의와 다가치 체계

    Ⅲ. 다가치 체계와 도덕적 정당성으로써 반성적 평형

    Ⅳ. 반성적 평형과 공통 도덕: 내재적 논의와 외재적 권위

    Ⅴ. 다가치 체계에서 행위의 정당화와 헌법적 “인간”

    Ⅵ.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68 22 동물복지 뉴질랜드 동물복지법과 대형유인원 프로젝트 : 대형유인원의 법적 지위와 문제점 / 유선봉 2011  289
    296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9
    2966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9
    2965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9
    »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2963 9 보건의료 의약품 해외 인허가 과정에서의 장애요인 분석 / 윤근영 2018  288
    2962 9 보건의료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 한은정 외 2018  288
    2961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296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8
    295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2958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2010  287
    2957 5 과학 기술 사회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 이희은 2018  287
    2956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29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7
    2954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법상 배아줄기세포연구 제한에 대한 헌법적 평가- 연구자의 학문의 자유 측면에서/정문식 2007  287
    2953 8 환자 의사 관계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경향 파악과 원인 분석 / 이원 2013  287
    295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6
    2951 12 낙태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신동일 2018  286
    295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6
    2949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법 개정의 의의와 법적 쟁점/김현철, 윤이레 2015  286